인공지능(AI)의 급격한 발전은 우리 앞에 놓인 ‘새끼 호랑이’와 같다는 분석이 나왔다. 이 새끼 호랑이가 인류를 잡아먹을 사나운 맹수가 될지, 아니면 ‘케이팝 데몬 헌터스’의 ‘더피’처럼 사랑스러운 존재가 될지는 결국 우리가 AI라는 도구를 어떻게 다루느냐에 달려있다는 것이다. AI는 저성장·고물가와 같은 경제적 난제를 해결할 획기적인 기회가 될 수도 있지만, 동시에 불평등과 불균형을 심화시키는 위험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이러한 AI의 양면성은 변화에 대한 철저한 대비 없이는 극심한 기술 격차를 야기하고, 이는 ‘철의 장막’을 능가하는 ‘실리콘 장막’으로 작용하여 전 세계적인 불평등과 불균형을 심화시킬 수 있다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이러한 위협에 효과적으로 대처하기 위한 유일하고도 현명한 방안으로 ‘국익을 위한 경쟁’과 ‘모두의 이익을 위한 협력’이라는 두 가지 축의 조화가 강조된다. 즉, ‘모두의 AI’와 ‘인간 중심의 포용적 AI’를 추구하는 것이 핵심적인 해결책으로 제시된다.
대한민국은 이러한 시대적 과제에 직면하여 ‘글로벌 책임 강국’으로서의 역할을 다하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AI가 인류의 지속가능한 미래를 만드는 훌륭한 도구가 될 수 있도록 국제사회와의 협력을 주도하는 길에 앞장서겠다는 것이다. 이는 위기 속에서도 평화와 공동번영의 길을 찾아온 유엔의 역사에 그 답이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따라서 우리 앞에 주어진 새로운 시대적 사명을 마다하지 않고, AI가 가져올 변화를 인류가 재도약할 발판으로 삼아 미래를 만들어 나가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