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일 이어지는 무더위 속에 시원함을 갈망하는 것은 비단 현대인만의 경험은 아니다. 과거에도 사람들은 여름의 뜨거운 열기를 식히기 위해 다양한 방법을 모색해왔으며, 그중에서도 빙수는 단순한 음식을 넘어 더위를 쫓는 신비로운 존재로 여겨졌다. 특히, 과거 라디오나 TV에서 방영되던 ‘납량특집’ 프로그램이 여름밤의 오싹함을 선사했다면, 음식으로서는 빙수가 그 역할을 톡톡히 수행해왔다. 십 원짜리 추억의 빙수부터 고급 호텔 빙수까지, 시대의 변화와 함께 빙수는 끊임없이 진화해왔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많은 이들에게 깊은 인상을 남기는 것은 바로 부산의 ‘할매’ 빙수이다.
과거 1970년대, 학교 앞 분식집이나 만화가게에서는 주물로 만든 수동 빙수기계로 깎아낸 얼음 위에 색소를 뿌려주는 십 원짜리 빙수를 팔았다. 주머니 사정이 넉넉하지 않아도 빙수 기계 돌아가는 소리와 얼음 갈리는 모습만으로도 더위를 잊을 수 있었던 시절이다. 돈을 내면 주인이 아이스박스에서 얼음을 꺼내 기계에 넣고 손잡이를 돌리면, 얼음 알갱이가 깎여 그릇에 수북이 쌓였다. 여기에 색소가 든 병을 뿌려 숟가락과 함께 건네주면, 합판으로 만든 탁자에 앉아 허겁지겁 먹었던 풍경이 생생하다. 시내 제과점에서는 우유와 연유를 넣어 곱게 간 얼음으로 만든 팥빙수나 ‘후루츠칵테일’ 빙수를 맛볼 수 있었는데, 이는 동네의 소박한 빙수와는 격이 다른 고급스러운 맛을 선사했다. 산처럼 쌓아 올린 얼음이 무너지듯 사라지는 것을 보며 아쉬움을 느끼기도 했다.
1990년대에 들어서면서 ‘눈꽃 빙수’라는 새로운 형태가 등장했고, 빙수는 더 이상 여름에만 즐기는 특별한 음식이 아닌 사계절 별미로 자리 잡았다. 빙수 전문 카페가 생겨나고, 호텔들은 경쟁적으로 수십만 원에 달하는 최고급 빙수를 선보이기 시작하면서 우리는 진정한 ‘빙수 왕국’에 살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하지만 이러한 화려함 속에서도, 진정한 빙수 왕국이라 불릴 만한 곳은 바로 부산이다. 부산의 국제시장, 광복동, 용호동 등지에는 빙수 거리가 형성되어 있으며, 특히 국제시장 안의 빙수 가게 앞에서는 긴 줄을 서서 기다리는 풍경을 흔히 볼 수 있다.
부산이 빙수의 도시가 된 데에는 여러 이유가 있을 것이다. 부산은 바다를 끼고 있어 신선한 생선을 얼려 보관해야 했고, 이를 위해 얼음이 필수적이었다. 자연스럽게 얼음의 활용도가 높아졌고, 더운 날씨 탓에 빙수에 대한 수요도 절실했을 것이다. 부산에는 비싸고 화려한 빙수도 존재하지만, 시민들이 진정으로 사랑하는 것은 수수하고 담박한 옛날 빙수, 바로 ‘할매’ 빙수이다. 국밥에 ‘할매’라는 이름이 붙는 것처럼, 부산의 빙수에도 ‘할매’라는 이름이 자연스럽게 자리 잡았다. 이름만 들어도 군침이 돌고 푸근하게 한 그릇 비워내고 싶은 충동을 느끼게 한다. 부산 빙수는 요란한 고명 대신 팥을 푸짐하게 얹는 것이 특징이다. 전국을 석권하며 빙수의 첨단으로 불렸던 ‘눈꽃 빙수’의 원조가 부산이라는 주장도 있지만, 많은 이들이 선호하는 것은 소박하고 투박한 부산식 ‘할매’ 빙수이다. 너무 달지 않은 팥이 마치 할머니의 정처럼 얼음 위로 푸짐하게 담겨 나오며, 이를 한 그릇 먹고 나면 단순한 간식이나 디저트가 아닌 든든한 한 끼 식사로 느껴진다.
이러한 부산 빙수에 대한 그리움은 해외에 사는 이들에게서도 찾아볼 수 있다. 냉면 마니아인 한 친구는 여름이면 몇 시간씩 차를 몰아 대도시로 가서 냉면을 먹고, 그 서운함을 달래기 위해 팥빙수도 한 그릇 사 먹는다고 한다. 그는 과거 자신이 살았던 동네가 조선시대 얼음 창고가 있던 곳임을 상기하며, 팥빙수를 앞에 두고 겨울이면 한강에 나가 얼음 부역을 했던 조상들의 노고를 떠올린다고 했다. 이는 얼음이 얼마나 귀한 자원이었는지를 짐작게 한다. 조선시대에는 여름 얼음이 궁궐에서나 볼 수 있는 귀한 것이었고, 서민들에게는 상상 속의 물체에 가까웠다. 왕실에서는 얼음을 저장해 두었다가 음식 재료의 부패를 막는 냉장고 용도로 사용했다. 이처럼 얼음의 귀함을 옛이야기를 통해 실감 나게 느낄 수 있다. 그러한 얼음으로 만든 최고의 음식인 팥빙수를 맛보기 위해, 여름이 저물기 전에 부산으로 향하는 발걸음이 절실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