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적인 탄소중립 흐름 속에서 원전의 역할에 대한 논쟁이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2020년 미국의 시사 주간지 타임이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모든 수단의 동원을 촉구하는 기사를 내보낸 이후, 2022년 유럽연합 집행위원회는 원전을 기후위기 대응 수단으로 친환경 에너지에 포함하는 택소노미 개정을 결정했다. 같은 해 뉴욕타임스는 원전 르네상스의 도래를 예고하는 기사를 보도하며 세계 에너지 전환의 흐름을 보여주었다. 특히, 과거 유럽 그린딜에서 원전을 제외했던 유럽연합이 2년 만에 이를 포함시킨 것은 원전 없이는 탄소중립 달성이 어렵다는 현실을 인정한 결정적인 장면으로 해석된다.
탄소중립에 가장 적극적인 유럽 대륙에서도 원전 없이는 지속 가능한 탄소 감축이 어렵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풍부한 풍력 자원을 기반으로 재생에너지를 추진하는 영국은 이미 원전을 탄소중립의 중요한 수단으로 삼고 원전 산업 기반 확보에 힘쓰고 있다. 수력 및 풍력 자원이 풍부한 스웨덴은 탈원전 정책을 접고 2050년까지 10기의 원전을 추가 건설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했으며, 35%의 전력을 원전에 의존하는 스위스 역시 신규 원전 건설 여부를 국민투표에 부치겠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심지어 탈원전의 선두 주자였던 이탈리아마저도 소형모듈원자로(SMR) 도입을 검토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국제적 흐름 속에서 유럽은 세계 최대의 원전 시장으로 부상하고 있다. 스웨덴의 10기를 포함해 네덜란드 4기, 폴란드 6기, 체코 4기 등 다수의 유럽 국가들이 원전 건설을 추진하고 있으며, 영국은 1GW급 원전 24기 분량의 추가 건설을 계획하고 있다. 체코의 신규 원전 사업은 15년 전 UAE에서의 성공에 이어 두 번째로 경쟁 입찰을 통해 수주하며, 원전 도입을 추진하는 국가들에게 K-원전의 경쟁력을 각인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이는 세계 원전 르네상스를 이끄는 주역으로서 한국이 떠올랐음을 시사한다.
이러한 해외에서의 치열한 경쟁에서 승리할 수 있었던 배경에는 우리나라 원전 기술의 결정체라 할 수 있는 신한울 1,2호기의 준공과 신한울 3,4호기의 착공이 있다. 신한울 1,2호기는 그동안 기술 자립이 어려웠던 원자로 펌프, 제어 시스템 등을 모두 국산 기술로 대체한 성과를 보여준다. 더불어, 탈원전 정책으로 인해 침체되었던 국내 원전 산업 생태계에 희망을 불어넣은 신한울 3,4호기는 2022년 정부의 발 빠른 정책 전환이 만들어낸 결과물이다. 우리나라의 원전 경쟁력은 1972년 고리 1호기 도입 이래 꾸준히 진행해 온 기술 개발과 더불어 2년에 한 기씩 원전을 건설해 온 산업 생태계를 유지해 온 데 있다. 2000년대에도 국내 12기, 해외 4기의 원전을 건설하며 공급망, 설계, 제작, 건설 기술 등에서 미국, 프랑스와 비교해도 손색없는 역량을 갖추게 되었다. 만약 탈원전 정책이 지속되었다면 자칫 잃을 뻔했던 중요한 산업 기반이었기에, 2024년 10월 30일의 신한울 1,2호기 준공 및 신한울 3,4호기 착공 기념식은 한국 원전 산업 역사에 길이 남을 순간이 될 것이다.
우리 원전은 다음 단계로 네덜란드 시장에 도전할 것이며, 이미 프랑스, 미국 등과 함께 참여 요청을 받은 상황이다. 원전 르네상스는 우리에게 큰 기회이지만, 동시에 위기 요인도 내재하고 있다. 현재 세계 원전 시장은 한국, 미국, 프랑스 간의 치열한 경쟁 구도를 보이고 있으며, 이번 체코 수주 성공이 다음에도 이어질 것이라는 보장은 없다. 국민의 기대에 부응하고 K-원전의 위상을 더욱 높이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기술 연마와 팀 코리아의 결속을 다지는 것이 필수적이다. 국가 역량을 결집해야 할 시기에 체코 원전 사업을 힐난하는 것은 외부에 쏟아야 할 노력을 국내 문제 해결에 소모하게 만드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K-원전은 우리 청년 세대에게 또 하나의 자부심이 될 수 있으며, 지금은 우리 청년들이 유럽의 탄소중립을 이끄는 K-원전을 이야기하는 미래를 만들 기회에 서 있다. K-원전이 세계 원전 르네상스를 선도하도록 지지해야 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