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이 연간 입국객 3천만 명 시대를 맞이하며 글로벌 관광대국으로의 도약을 꿈꾸고 있으나, 콘텐츠 산업과 관광, 그리고 지역 경제 간의 선순환 구조 구축을 가로막는 고질적인 규제들이 여전히 발목을 잡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김민석 국무총리가 지난 9월 25일 제10차 국가관광전략회의를 주재하며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고 관광 산업의 경쟁력을 한층 끌어올리기 위한 방안을 모색한 배경이다.
이번 회의에서 논의된 핵심 내용은 바로 ‘과감한 규제개혁’을 통해 콘텐츠, 관광, 지역 경제가 서로 시너지를 창출하는 선순환 구조를 만들어내겠다는 것이다. 이는 단순히 입국객 수 증가에만 초점을 맞추는 것이 아니라, 한국의 문화적 매력을 콘텐츠로 발굴하고 이를 다시 관광객 유치로 연결하며, 궁극적으로는 각 지역의 경제 활성화로 이어지게 하는 체계적인 접근을 시사한다. 그동안 국내 관광 산업은 다양한 규제로 인해 새로운 콘텐츠 개발이나 체험형 관광 상품의 확장에 제약을 받아왔으며, 이는 한국을 방문한 관광객들이 다시 찾고 싶어 하는 매력을 충분히 제공하지 못하는 요인으로 작용해왔다. 또한, 지역 기반의 관광 자원이 잠재력에도 불구하고 관광객 유치 및 소비로 이어지는 과정이 원활하지 못해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하는 정도가 미미했다는 분석도 나온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국무총리는 ‘과감한 규제개혁’을 통해 이러한 제약 요인을 적극적으로 해소하겠다는 의지를 표명했다. 이는 콘텐츠 창작자들에게는 자유로운 창작 환경을 제공하고, 관광업계에는 혁신적인 상품 개발의 기회를 열어주며, 지역 사회에는 새로운 경제 성장 동력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규제가 완화될 경우, 한국의 풍부한 문화적 자원을 활용한 다채로운 콘텐츠가 쏟아져 나올 것이며, 이는 국내외 관광객들의 흥미를 유발하여 한국 방문의 매력을 한층 높일 것으로 기대된다. 나아가, 관광객들이 콘텐츠를 통해 접한 지역을 직접 방문하고 소비함으로써 지역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는 긍정적인 파급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결론적으로, 이번 국가관광전략회의에서 강조된 규제개혁은 한국이 입국 3천만 명을 넘어 진정한 글로벌 관광대국으로 자리매김하기 위한 필수적인 발걸음이다. 콘텐츠와 관광, 그리고 지역 경제가 유기적으로 연결되는 선순환 구조가 성공적으로 구축된다면, 한국은 단순한 방문지를 넘어 한국 문화의 경험과 지역 경제 활성화가 어우러진 복합적인 매력을 제공하는 국가로 거듭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변화는 한국 관광 산업의 지속 가능한 성장과 국가 경쟁력 강화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