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춘기 자녀의 까칠함과 집에서 영화를 보는 편안함이라는 ‘문제’가 부모와 자녀 모두에게 극장 방문의 발목을 잡아왔다. 특히 9월은 하나뿐인 아들의 생일과 더불어 중학교 첫 시험을 앞둔 예민한 시기여서, 가족 여행 제안에도 ‘재미없다’는 팩트 폭력만 돌아오기 일쑤였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아들이 꺼내 든 카드는 바로 극장 관람이었고, 이는 곧 ‘귀멸의 칼날’이라는 특정 영화와 400만 관객 돌파라는 수치로 귀결되었다. 하지만 이러한 개인적인 고민과 상황은 더 거대한 사회적 ‘문제’와 맞닿아 있었다. 바로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침체된 영화 산업의 활성화라는 과제였다.
문화체육관광부와 영화진흥위원회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8일부터 영화 관람료 6천 원 할인권 188만 장을 추가 배포하는 정책을 발표했다. 이는 지난 7월 25일부터 시행된 450만 장의 할인권 배포에 이은 두 번째 조치로, 민생 회복과 영화산업 활성화를 동시에 도모하려는 구체적인 ‘솔루션’이다. 기존 1차 할인권 이용자도 별도의 다운로드 과정 없이 쿠폰함에 1인 2매가 미리 담겨 있어 편리하게 재사용할 수 있으며, 신규 회원의 경우 회원 가입 후 다음 날 할인권을 받을 수 있다. 또한, 이번 할인권은 대형 멀티플렉스뿐만 아니라 독립·예술영화전용관, 작은영화관, 실버영화관 등 다양한 형태의 영화관에서도 사용할 수 있도록 범위를 확장하여, 관객의 영화 선택권을 넓히는 효과까지 가져온다. 특히, 누리집 및 애플리케이션 사용이 어려운 어르신들을 위해 종합 안내 창구(☎070-4027-0279)를 운영하는 세심함까지 엿볼 수 있다.
이러한 할인권 정책의 성공적인 적용은 ‘문제’였던 영화 산업 침체에 활력을 불어넣고 있다. 문체부에 따르면, 1차 할인권 배포 기간 동안 영화관을 찾은 관객 수는 올해 7월 24일까지의 일평균 관객 수 대비 1.8배나 증가했으며, 할인권 배포 후 3주간 10명 중 3명이 최근 1년간 극장을 찾지 않았던 신규 또는 기존 고객이었다. 이는 넷플릭스와 같은 OTT 서비스의 확산으로 극장 방문이 줄어들었던 ‘문제’가 상당 부분 해소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오랜만에 극장에서 영화를 관람한 가족은 아들이 친구와 한 번 더 영화를 보고 싶다는 의사를 밝힐 정도로 만족감을 드러냈다. 이는 단순히 할인 혜택을 넘어, 가족 구성원 간의 소통과 즐거움을 되찾아주는 ‘솔루션’으로서의 역할을 톡톡히 해내고 있음을 보여준다. 따라서 이번 6천 원 할인권 추가 배포는 앞으로도 극장가를 더욱 활기차게 만들고, 다양한 유형의 영화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