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의 날과 청년주간을 앞두고, 청년들이 겪는 복잡한 취향 탐색 및 고민 해결의 어려움이 문화 행사를 통해 새로운 방식으로 접근되고 있다. 지난 8월 29일부터 이틀간 서울 성수동 복합문화공간 더블유젯 스튜디오에서 열린 ‘청년문화사용법: 네 개의 방’은 이러한 문제점을 인식하고 청년들의 문화적 욕구와 정체성 탐구, 그리고 정책 소통까지 아우르는 장을 마련했다는 점에서 주목받고 있다.
이 행사는 2030 세대의 취향을 반영한 팝업 스토어 형태로 운영되었으며, 참여자들은 ‘내가 정말 좋아하는 것은 무엇일까?’라는 근본적인 질문에 대한 답을 찾고자 하는 기대감으로 행사에 참여했다. 이는 바쁜 일상 속에서 자신의 고유한 문화 취향을 깊이 탐색하고 수집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 청년들의 현실적인 문제를 배경으로 한다.
행사의 첫 번째 공간인 ‘탐색의 방’에서는 참여자들이 자신의 오래된 취미와 최근 관심사를 되돌아보며 다양한 문화 성향을 탐색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각 질문에 대한 답변은 ‘낯섦의 설렘’, ‘쾌감’과 같은 감각적인 표현과 ‘야구’, ‘일러스트’, ‘서점’ 등 청년들이 공감할 수 있는 선택지로 제시되어 MBTI 성격 유형 검사처럼 흥미롭게 자기 자신을 탐색하는 경험을 제공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청년들은 수동적인 정보 소비자를 넘어 능동적으로 자신의 취향을 발견하는 경험을 했다.
이어지는 ‘고민 전당포’ 코너는 청년들이 마음 편히 자신의 고민을 나눌 수 있는 새로운 방식의 소통 창구 역할을 했다. 참여자들은 자신의 고민을 적어 전당포에 맡기고, 익명의 다른 참여자가 남긴 고민에 대한 답변을 받아보는 방식으로 상호 간의 경험을 공유했다. 특히 ‘뭘 해도 의욕 없는 날이 자꾸 길어져서 두려워요’와 같은 질문에 대한 답변을 주고받는 과정에서, 참여자들은 타인의 고민을 마주하며 자신만이 힘든 것이 아니라는 안도감을 얻었고, 낯선 이의 답변을 통해 실질적인 조언을 얻는 경험을 했다. 이는 청년들이 겪는 고립감과 정신적 어려움을 해소하는 데 기여할 수 있는 새로운 솔루션으로 평가된다.
‘연결의 방’에서는 독서 모임, 잡지 커뮤니티, 체육 기반 협동조합 등 다양한 단체가 자신들의 취미를 타인과 나누는 장이 마련되었다. 특히 문화체육관광부가 운영하는 ‘청년소리의 정원’ 부스에서는 청년들이 정책 제안을 통해 정책 의제로 발전시킬 수 있는 기회를 제공했으며, 현장에서는 ‘청년 재테크 교육’과 같은 정책 아이디어가 즉석에서 제안되었다. 이러한 활동은 청년들이 단순히 문화 콘텐츠를 소비하는 것을 넘어, 자신의 삶과 사회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도록 이끌었다.
3층 ‘영감의 방’에서는 취향이 직업이 된 사람들과 함께하는 강연이 진행되었다. ‘작가의 문장이 세상에 닿기까지’ 토크콘서트에서는 민음사 마케팅팀 조아란 부장과 김겨울, 정용문 작가가 실제 현장의 이야기를 생생하게 들려주며 책을 좋아하는 청년들에게 깊은 영감을 제공했다. 이러한 현직자와의 만남은 청년들이 막연하게 꿈꾸던 진로를 현실적인 목표로 구체화하는 데 실질적인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청년문화사용법: 네 개의 방’은 청년들이 겪는 현실적인 고민과 개성 넘치는 취향이 어떻게 문화로 연결될 수 있는지를 생생하게 보여주었다. 특히 청년의 날과 청년주간을 앞둔 시점에서 이러한 행사는 청년 정책이 단순한 지원을 넘어 청년들의 문화적 욕구와 정체성 탐구까지 포괄해야 한다는 점을 시사한다. 앞으로도 청년의 날을 전후하여 이와 같이 청년들의 눈높이에 맞춘 다채로운 문화 행사와 정책 소통의 장이 지속적으로 마련된다면, 청년들이 서로를 격려하고 성장하는 데 진정한 힘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