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식탁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콩나물국밥이 전북 지역에서 지역 최고 음식으로 자리 잡은 배경에는 한국 음식 문화의 독특한 다양성이 숨어 있다. 단순히 재료의 질이나 조리법의 우수성을 넘어, 같은 음식이라도 지역과 사람에 따라 미묘하게 변주되며 고유의 맛과 가치를 형성해 나가는 음식 문화의 특성이 주목된다.
박찬일 셰프는 이러한 음식 문화의 다양성을 ‘같은 나라이니 관공서 양식이며 경찰 제복은 같을지라도 말씨와 차림새며 온갖 습속이 달라서 그 재미로 세상이 굴러간다고까지 생각이 미칠 때가 있다’고 비유하며 설명한다. 이는 마치 중국 화교가 시작한 짜장면과 짬뽕마저도 지역별로 조금씩 달라지는 현상과도 맥을 같이 한다. 전국적인 통일된 맛을 추구하려는 노력에도 불구하고, 소비자들의 “옛날 같질 않다”는 반응은 결국 각자의 고향 주방에서 자신만의 레시피로 돌아가게 만드는 동인이 된다. 음식은 달라야 맛이기도 하기에 굳이 통일할 필요가 없으며, 이는 콩나물국밥의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서울에서 콩나물국밥은 흔히 집에서는 줘도 안 먹을 법한, 식당 백반에 기본으로 나오는 국 정도로 인식되곤 한다. 미리 끓여두어 콩나물이 퍼지고 건더기가 없어 별다른 맛을 기대하기 어려운, 값싼 콩나물 외에는 특별한 것이 없는 국으로 여겨지기 때문이다. 그러나 전라북도에서는 이러한 콩나물국밥이 전혀 다른 위상을 갖는다.
전라북도에서 콩나물국밥을 주문하는 과정은 단순하지 않다. ‘수란으로 할까요 날계란으로 할까요, 오징어를 넣을까요 말까요, 밥은 토렴할까요 따로 낼까요’와 같은 다양한 선택지가 존재하며, 가게마다, 동네마다, 지역마다 조금씩 다르다. 현지인처럼 잘 얻어먹기 위해서는 ‘여기는 어떻게 시켜요?’라고 물어보고, 돌아오는 대답을 새겨들어야 한다. 이는 단순히 메뉴를 선택하는 것을 넘어, 지역의 고유한 식문화와 소통 방식을 이해하는 과정이라 할 수 있다.
특히 전주 남부시장의 국밥집은 이러한 지역적 특성을 더욱 두드러지게 보여준다. 주문을 받으면 ‘이모’가 국을 담은 투가리를 내어놓고, 손님 앞에서 직접 마늘과 매운 고추, 파를 다져 양념을 완성하는 방식은 음식의 향과 맛을 극대화하는 독특한 경험을 제공한다. 미리 썰어둔 양념과는 차원이 다른 신선함이 더해지는 것이다.
전주는 물론 익산, 군산 등 전북 지역의 여러 도시에서 콩나물국밥으로 유명한 가게들이 즐비한 현상은 지역 경제와 문화에 깊숙이 뿌리내리고 있음을 보여준다. 비록 과거와 같은 폭발적인 인기는 아닐지라도, 전북 지역을 방문하는 이들에게 콩나물국밥은 여전히 빼놓을 수 없는 대표적인 음식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이는 콩나물국밥이라는 대중적인 음식이 지역의 특색과 만나 어떻게 특별한 가치를 창출하는지를 여실히 보여주는 사례라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