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선한 가을바람이 불어오는 계절, 굽이진 길을 따라 경고문과 철조망을 지나 만나는 오두산 통일전망대는 문득 ‘휴전국’이라는 현실을 상기시킨다. 푸르른 하늘 아래 임진강과 한강이 만나는 지점에서 망원경 너머로 보이는 북한 개성의 풍경은 분단의 아픔과 통일의 염원을 동시에 느끼게 하는 특별한 공간이다. 이곳은 단순한 나들이 장소를 넘어, 분단 역사를 되돌아보고 통일의 미래를 제시하는 살아있는 현장이다.
오두산 통일전망대 1층과 2층에는 분단 역사를 다룬 전시물이 가득하며, 특히 ‘그리운 내 고향’ 전시실에는 실향민들이 그린 고향 그림 5,000여 점이 전시되어 있어 이들의 애달픈 마음을 엿볼 수 있다. 2층에서 3층으로 올라가는 길목에는 2015년 광복 70주년을 기념해 DMZ 철조망으로 제작된 ‘통일의 피아노’가 관람객을 맞이한다. 전시실 벽면과 바닥에는 6.25 전쟁 자료와 남북 교류 관련 전시가 소개되어 있으며, 영상실에서는 통일 교육 관련 다큐멘터리를 상영한다.
야외 전망대에서는 개성 시내와 북한 마을의 논밭, 건물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날씨가 맑은 날에는 개성 송악산, 개풍군 마을, 그리고 북한 주민들의 생활 모습까지 관찰 가능하다. 서울 도심에서 약 한 시간 남짓한 거리에 위치한 이곳은 연간 약 100만 명이 방문할 정도로 국내외 관광객에게 인기 있는 안보 견학지이다. 기자는 망원경으로 자전거를 타고 이동하는 개성 주민의 일상을 엿보며 ‘가깝지만 먼 나라’의 현실을 생생하게 느꼈다.
이러한 오두산 통일전망대가 주는 ‘체감형’ 경험은 최근 발표된 2026년 통일부 예산안과 맥을 같이한다. 지난해보다 약 20% 이상 증액된 1조 2,378억 원 규모의 예산은 남북협력기금 1조 25억 원을 중심으로 인도적 지원, 경제 협력, 문화 교류, 국민 공감 프로젝트 등 다양한 분야에 배분된다. 특히 체험 사업, 민간 통일운동, 통일 문화 교육 등이 예산안에 새로 포함되어 국민이 통일 관련 정책을 더욱 가까이에서 ‘보고, 느끼는’ 기회가 확대될 전망이다.
2026년 통일부 예산은 크게 네 가지 분야로 나뉜다. <인도적 문제 해결>에 약 6,810억 원이 책정되어 이산가족 지원과 구호 활동에 집중한다. <경제협력 기반 조성>을 위해서는 교류 협력 보험, 경제협력 대출 등이 포함되어 향후 남북 교류 재개를 위한 토대를 마련한다. <사회문화 교류> 분야에서는 남북 문화·체육 교류, 민간 교류 사업이 소규모로 반영되었으며, <국민 공감 확대>를 위해서는 통일 문화 체험, 민간단체 지원, 사회적 대화 프로그램 등이 추진된다.
특히 주목할 점은 이러한 예산 항목들이 단순한 ‘정책 사업’에 머무르지 않고, 오두산 통일전망대나 DMZ 탐방과 같은 현장 체험과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는 것이다. 즉, 정부 예산은 국민이 통일 문제를 ‘체험’할 기회를 넓히는 자원으로 작동하게 된다. 더불어 오두산 통일전망대 이용객은 DMZ 생생누리 방문 시 입장료를 반액 할인받는 ‘DMZ 연계할인’ 혜택도 누릴 수 있다.
오두산 통일전망대에서 마주한 북한 너머의 풍경은 통일·안보 정책이 단순한 정부 문서 속 숫자가 아님을 여실히 보여주었다. 2026년 통일부 예산안은 증액된 규모와 신규 사업을 통해 국민의 삶 속에서 통일에 대한 생각을 어떻게 변화시킬지 기대하게 만든다. 하지만 중요한 것은 예산이 책상 위에만 머무르지 않고, 집행 가능성, 남북 관계의 흐름, 주민과 민간단체의 참여, 지역 인프라 정비 등과 함께 작동해야 한다는 점이다. 화창한 날씨 속 오두산 통일전망대처럼, 눈앞의 풍경이 통일의 가능성을 상상하게 하는 공간들이 많아지고, 예산이 그 공간들을 지원하는 힘이 되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