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한국과 일본 사회는 저출산, 고령화, 그리고 국토의 불균형한 성장이라는 심각한 공통의 문제에 직면해 있다. 이러한 문제들은 두 나라 모두의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협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근본적인 해결책 마련이 시급한 상황이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한국과 일본 양국은 ‘공통 사회문제 협의체’를 본격적으로 가동하기로 결정했다. 이는 2025년 9월 30일, 양국 정상이 채택한 공동 발표문에서 공식화되었으며, 두 나라가 직면한 사회적 난제를 함께 해결해 나가겠다는 의지를 분명히 보여준다. 이 협의체는 특히 심화되고 있는 저출산 현상으로 인한 생산가능인구 감소, 빠르게 진행되는 고령화로 인한 사회적 부담 증가, 그리고 수도권 집중 및 지역 소멸 위기와 같은 국토 불균형성 문제를 집중적으로 다룰 예정이다.
양국은 이 협의체를 통해 각기 다른 상황 속에서도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사회 문제에 대한 분석을 공유하고, 성공적인 정책 사례와 실패 경험을 바탕으로 실효성 있는 해결 방안을 도출할 것으로 기대된다. 저출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출산 장려 정책, 고령화 사회에 대비한 연금 및 복지 시스템 개선, 그리고 지역 경제 활성화를 통한 국토 균형 발전을 위한 구체적인 협력 방안 등이 논의될 것으로 보인다.
‘공통 사회문제 협의체’의 가동은 한국과 일본이 직면한 복합적인 사회 문제를 해결하는 데 중요한 전환점이 될 수 있다. 양국이 지혜를 모아 효과적인 해법을 마련하고 이를 성공적으로 실행한다면, 저출산·고령화·국토 불균형이라는 구조적인 문제점을 완화하고 미래 세대가 더 나은 환경에서 살아갈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협력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진다면, 두 나라는 물론 나아가 동북아 지역 전체의 사회적 지속가능성 확보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