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이 193개 유엔 회원국 전체와 외교 관계를 수립하는 역사적인 대기록을 세웠다. 2025년 4월 10일, 한국은 마지막 남은 미수교국이었던 시리아와 외교 관계를 맺으며 외교 지형의 마지막 퍼즐 조각을 맞췄다. 이 역사적인 수교는 극비리에 진행된 조태열 외교부 장관의 다마스쿠스 방문을 통해 성사되었으며, 한 편의 외교 첩보극을 방불케 하는 극적인 순간이었다. 조 장관은 “쇠뿔도 단김에 빼라는 말이 있듯, 어렵게 마련된 기회를 놓치지 않기 위해 시리아를 방문했다”며 이번 수교를 ‘끝내기 홈런’에 비유할 정도로 그 의미를 강조했다.
이번 수교의 배경에는 시리아의 급격한 정치적 변화가 자리하고 있다. 2024년 11월 말, 2011년 ‘아랍의 봄’ 민주화 혁명 이후 바샤르 알아사드 독재 정권에 맞서 싸워온 이슬람주의 반군 하야트 타흐리르 알샴(HTS)이 수도 다마스쿠스를 장악하는 놀라운 사건이 발생했다. 1970년 아버지 하페즈 알아사드 집권 이후 54년간 이어진 부자 세습 독재 체제는 정부군이 이렇다 할 저항 없이 투항하고 ‘시리아의 도살자’로 불리던 알아사드가 후원국 러시아로 도주하면서 허무하게 막을 내렸다. 이러한 시리아의 급변은 한국이 지난해 2월 북한과만 수교해 오던 쿠바에 이어, 시리아와의 수교까지 성사시키는 데 결정적인 계기가 되었다.
세습 독재의 갑작스러운 몰락은 독재 체제 특유의 구조적 한계에서 비롯된 것으로 분석된다. 겉으로는 평온해 보이지만, 억압과 통제로 내부 여론을 차단한 결과 체제는 몰락의 징후조차 감지하지 못하고 부패와 불신 속에 한순간에 무너지는 속성을 지니고 있다는 것이다. 또한, 2023년 10월 이스라엘-하마스 전쟁 발발과 그 여파로 인한 중동 정세의 급변 역시 시리아 몰락에 영향을 미쳤다. 이스라엘의 ‘새로운 질서’ 작전으로 이란이 후원하던 하마스와 헤즈볼라가 와해되고 이란 혁명수비대가 타격을 입으면서, 시리아의 오랜 후원국인 이란과 러시아가 HTS의 진격 당시 정부군을 제대로 지원할 수 없는 상황이 발생했다.
시리아 정권의 몰락은 북한에도 실존적 불안감을 안겨줄 것으로 보인다. 김일성 시대부터 혈맹 관계를 이어왔으며 러시아와의 군사 동맹에 생존을 의지하고 있는 북한으로서는, 하루아침에 무너진 알아사드 정권의 사례를 통해 유사시 자동 군사 개입까지 약속한 러시아와의 관계를 더욱 예의주시할 수밖에 없게 되었다. 북한은 주요 해외 공작 거점을 또 잃게 되었으며, 외교적 고립은 더욱 심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실제로 알아사드 정권 붕괴 당시 북한 대사관은 서둘러 철수했다.
한편, 2025년 1월 HTS 수장 아흐메드 알샤라가 과도정부 대통령으로 취임한 시리아는 전쟁으로 붕괴된 경제와 국가 제도를 복구하는 것을 최대 과제로 안고 있다. 내전 이후 경제가 85% 이상 위축되고 인구의 90%가 빈곤선 이하에 놓인 절망적인 상황에서, 시리아는 한국의 경제 성장 비결에 깊은 관심을 보이며 발전 모델 학습을 위한 실무 대표단 파견 의사를 밝혔다. 조태열 외교부 장관 역시 개발 경험 공유, 인도적 지원, 경제 재건 협력을 제안하며 한국의 성공적인 발전 경험이 새로운 시리아를 꿈꾸는 이들에게 희망과 확신을 줄 수 있기를 기대하고 있다. 한국은 중동 국가들에게 아시아적 가치를 지키면서도 시장경제를 이룬 성공 사례로 주목받고 있으며, 원조 수혜국에서 공여국으로 전환한 한국의 경험은 전통 가치를 중시하는 중동 이슬람 국가들에게 사회주의 체제나 서구식 자유주의 모델보다 더욱 매력적인 발전 모델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