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9월 한 달간 진행된 ‘동행축제’가 총 6634억 원의 매출을 기록하며 내수 시장에 일시적인 활력을 불어넣었지만, 이러한 성과가 지속적인 소비 회복으로 이어질 수 있을지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다. 동행축제는 애초에 침체된 내수 소비를 진작시키고 소상공인의 매출 증대를 도모하기 위해 기획된 전국 단위의 대규모 소비 촉진 행사였다. 그러나 최근 경기 불확실성과 고물가 상황 속에서 소비 심리가 위축되는 ‘문제’에 직면해 있었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9월 동행축제는 민생회복소비쿠폰 지급과 더불어 전국적인 연계 행사 및 다양한 이벤트를 통해 소비 분위기 확산을 꾀했다. 특히 온라인 판매전에는 2만 7000개 사가 참여하여 6307억 원이라는 상당한 매출을 올렸다. 롯데온의 ‘동행제품100’ 기획전에서는 동아식품의 김가네 식탁 감자탕이 전년 대비 26배(6700만 원) 증가하는 등 놀라운 성과를 보였고, 호정식품의 옛날 도나스 역시 13배(6200만 원)의 매출 증가를 기록하며 온라인 판로 확대의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쿠팡에서도 다정한 마켓의 반려동물 간식껌이 6400만 원, 부쉬맨의 워터프루프 선크림이 6000만 원의 매출을 올리며 성공적인 판매를 이어갔다.
오프라인 판매전 역시 144곳의 지역 행사와 정책 매장을 통해 327억 원의 매출을 달성하며 내수 활성화에 기여했다. 전국적인 소비 회복과 소상공인 활력 제고를 목표로 삼은 만큼, 이번 축제는 비수도권 지역과 인구 감소 지역에 대한 행사 비중을 76%로 높여 지역 상권과의 접점을 넓히려는 노력을 기울였다. 제주 ICC에서 열린 개막식은 APEC중소기업장관회의 연계 행사로 1만 8000명이 방문하며 성황을 이루었고, 제주 지역 소상공인 51개 사는 8500만 원의 매출을 기록했으며 이 중 8개 업체는 첫날 완판하는 기염을 토했다. 롯데백화점(잠실점)의 상생판매전에서는 50개 소상공인 업체가 참여하여 1억 원의 매출을 올리며 대기업과 소상공인이 함께 성장하는 유통 구조 마련에 힘썼다.
이 외에도 전통시장 및 소상공인 매장의 소비 촉진을 위해 10억 원 규모의 디지털 온누리상품권을 지급하는 상생소비복권 이벤트와 7개 TV홈쇼핑사 및 7개 카드사의 다양한 할인 및 캐시백 혜택 제공, 배달의민족을 통한 제주 지역 및 집중호우 피해 지역 할인쿠폰 발급 등 다각적인 노력이 이루어졌다. 최원영 중기부 소상공인정책실장은 “따뜻한 소비는 소상공인에게 작은 희망의 불씨가 되고 우리 경제에는 힘찬 숨결을 불어넣는다”고 말하며 국민들의 참여에 감사를 표했다.
이러한 동행축제의 성공적인 매출 기록은 위축된 소비 심리를 일부 해소하고 소상공인에게 단기적인 온기를 불어넣었다는 점에서 긍정적인 평가를 받을 수 있다. 하지만 중소벤처기업부에서 밝힌 바와 같이, 10월 말에는 동행축제와 코리아 세일 페스타 등이 통합된 ‘코리아 그랜드 페스티벌’이 개최될 예정이다. 이는 일회성 할인 행사에 대한 의존도를 낮추고 지속 가능한 소비 회복 기반을 마련해야 한다는 ‘과제’에 대한 정부의 인식을 보여준다. 따라서 이번 동행축제의 성과를 발판 삼아, 향후 개최될 대규모 국가 단위 할인 축제가 소비 진작이라는 본래의 목표를 넘어 실질적인 내수 경제의 지속적인 활력으로 이어질 수 있을지에 대한 면밀한 분석과 준비가 필요할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