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전 세계적으로 큰 인기를 얻고 있는 애니메이션 ‘케이팝 데몬 헌터스'(이하 ‘케데헌’)가 기존 한류 현상에 새로운 차원을 더하며 주목받고 있다. 이 작품은 기록적인 흥행을 이어가며 단순한 문화 수출을 넘어, 글로벌 문화가 로컬 문화를 재해석하고 활용하는 방식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로 평가받고 있다. 특히 ‘케데헌’은 한국 문화산업의 제작 방식과는 다른 경로를 통해 탄생했으며, 이 점이 오히려 극한의 소통 능력과 매력을 발휘하는 동력이 되었다는 분석이다.
‘케데헌’은 한국의 전통 서사인 무당 이야기와 현대적인 케이팝 문화를 결합한 독특한 세계관을 구축했다. 이는 서울의 상징적인 장소들을 배경으로 전개되며, 마치 한국으로의 여행을 유도하는 듯한 노스텔지어와 호기심을 자극하는 힘을 발휘한다. 이러한 서사적, 형식적 가능성은 ‘케데헌’이 수많은 로컬버전을 만들어낼 수 있는 개방된 구조를 가지고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이 애니메이션은 북미의 한인 2세 원작자 및 제작자들이 참여함으로써 한국인 디아스포라와 그들의 역사적 경험이라는 새로운 서사 자원의 존재를 일깨워주고 있다.
애니메이션이라는 장르의 선택은 ‘케데헌’의 성공에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소니는 스파이더맨 애니메이션 기술을 활용하여 역동적인 캐릭터 움직임을 구현했으며, 제작진은 시청자에게 즐거움을 선사할 텍스트 전략과 디테일한 일러스트레이션, 그리고 케이팝의 힘을 적극적으로 활용했다. 무엇보다 애니메이션은 비서구인의 몸이라는 탈식민적 세계화의 장벽을 낮추거나 제거하는 효과를 가져왔다. 이전까지 케이팝은 ‘아이돌의 아시아성’이라는 한계를 넘어서기 어려웠으나, 애니메이션은 인종주의적 복잡함 없이 전 세계 시청자가 선호하고 코스프레하기도 쉬운 캐릭터들을 탄생시켰다. 플레이브나 이세계 아이돌과 같은 가상 아이돌 그룹의 해외 투어가 가능할 정도로 발전한 케이팝 문화 속에서, ‘케데헌’의 캐릭터들은 세계관을 갖춘 채 글로벌 케이팝 무대에 데뷔한 것과 같은 효과를 창출했다.
케이팝 문화에서 그룹의 서사는 매우 중요한 변별력을 제공하며 팬덤 활동을 유도한다. ‘케데헌’은 인간세계를 보호하려는 이중 정체성 주인공과 걸그룹, 보이그룹이 등장하는 인간적이고 공동체적인 세계관을 제시함으로써, 자아발견, 개인 성장, 우주 대전쟁 등 기존의 서사들과는 다른 이국적이고 매력적인 대안으로 자리매김했다. 이러한 ‘케데헌’의 개방된 서사는 동시대적으로도 헌터스의 세계 투어를 통해 수많은 로컬 귀신들과 싸우는 스토리를 무한히 확장할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다.
이처럼 ‘케데헌’은 글로벌 문화의 로컬 전용 사례를 넘어, 한국 디아스포라의 독특한 문화 경험과 애정이 녹아들어 글로벌과 효과적으로 소통할 수 있는 ‘문화적 중재’의 힘을 보여주고 있다. 북미 한인 2세 제작자들의 참여는 한국 근현대사의 굴곡과 세계사를 한국인의 경험으로 포용하는 광범위한 디아스포라의 역사를 배경으로 하며, 이는 한류를 넘어 한국의 미래가 한인 디아스포라와 어떻게 연결될지에 대한 중요한 화두를 던진다. ‘케데헌’은 한류가 또 다른 세계로 확장되는 중요한 이정표가 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