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된 조선왕릉과 궁궐이 단순한 역사 유적을 넘어 시대의 변화를 고스란히 담은 ‘이야기’를 품고 있음을 보여주는 프로그램이 운영된다. 국가유산청 궁능유적본부는 2025년 하반기 왕릉과 궁궐을 연계한 여행 프로그램 「2025년 하반기 왕릉팔경」을 11월 10일까지 총 22회에 걸쳐 선보인다. 이 프로그램은 8월 21일, 9월 25일, 10월 16일 세 차례 예약 일정이 있으며, 네이버 예약을 통해 선착순으로 오전 11시부터 신청할 수 있다. 회당 25명의 인원이 참여 가능하며, 어르신, 장애인, 국가유공자는 전화 예약도 가능하다.
이 프로그램이 주목받는 이유는 조선 시대 왕릉의 전통적인 모습뿐만 아니라 대한제국 시기 황릉의 변화, 그리고 근대 전환기의 격동하는 역사까지 아우르며 다층적인 역사적 의미를 탐색할 기회를 제공하기 때문이다. 단순한 유적 답사를 넘어, 왕릉이라는 공간에 담긴 제도의 변화, 인물의 삶, 그리고 시대의 아픔까지 생생하게 느낄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 특징이다.
특히 이번 여행 프로그램 중 ‘순종황제 능행길’ 코스는 조선의 마지막 황제 순종의 삶과 대한제국 시기 왕릉의 변화를 집중적으로 조명한다. 1908년, 순종이 반포한 「향사리정에 관한 건」 칙령은 제사 횟수를 기존의 여러 차례에서 명절날과 기신제 단 두 번으로 축소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는 조선 왕릉 제사 문화의 중요한 전환점을 보여주는 사례다. 또한, 한식날 제사에서 청명절 제사로 날짜가 변경되었을 가능성 등 예제 제도의 변화상을 엿볼 수 있다. 이러한 제사 문화의 단절 없는 계승은 조선왕릉이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되는 데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했다.
동구릉은 태조 이성계의 건원릉을 비롯하여 총 아홉 기의 왕릉이 모여 있는 조선 최대 규모의 능역이다. 이곳에서 만나는 태조의 유언에 따라 봉분을 덮은 억새는 600여 년이 지난 지금까지 이어져 오는 전통의 깊이를 보여준다. 건원릉의 표석에 ‘대한 태조 고황제 건원릉’이라 새겨진 것은 왕릉 제도의 변화와 태조의 위상이 황제로 격상되었음을 시사한다. 또한, 봉분을 덮은 억새는 태조의 고향에 대한 애정과 후손들의 성실한 계승 의지를 담고 있다.
왕릉의 핵심 의례 공간인 정자각은 제물을 차리고 제사를 지내는 중심 건물로, 산 자와 죽은 자의 구분을 상징하는 신로와 어로가 분리되어 있다. 이러한 공간 구성은 왕릉 제례의 엄숙함과 질서를 보여준다. 또한, 추존왕의 능에서는 생전 왕이 아니었으나 후손의 즉위로 추존된 경우, 정통 왕릉과 구분되는 특징들이 나타난다. 예를 들어, 석물의 배치가 절반만 이루어지거나, 왕과 왕비의 지위에 따라 합장릉의 배치가 달라지는 등 다양한 사례를 통해 시대의 서열 의식이 왕릉 공간에 반영되었음을 알 수 있다.
경릉의 삼연릉은 조선과 대한제국 왕릉 중 유일하게 세 기의 봉분이 나란히 배치된 합장릉으로, 헌종과 두 왕비가 함께 모셔진 특별한 사례다. 또한, 대한제국 시기 여러 차례 다시 새겨진 비석의 흔적은 당시의 경제적 부담과 시대적 상황을 엿볼 수 있는 흥미로운 단서를 제공한다. 홍릉과 유릉은 대한제국 황릉의 양식을 따라 왕조에서 황제국으로 체제가 전환되면서 나타난 조영 방식의 변화를 보여준다. 화려한 석물 배치와 장식 속에는 주권을 상실한 민족의 아픔이 깃들어 있다.
이러한 왕릉 답사 프로그램은 단순한 역사적 사실을 넘어, 참가자들에게 미래 세대가 역사를 어떻게 기억하고 이어갈 것인가에 대한 질문을 던진다. 세계유산으로 지정된 왕릉의 아름다움뿐만 아니라 그 속에 담긴 역사를 외면하지 않고 기억하는 것이 진정한 오늘의 의미임을 상기시킨다. 역사의 숨결과 함께 호흡하는 이 여정은 참가자들에게 깊은 울림을 선사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