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통화기금(IMF)이 올해 한국 경제성장률을 0.9%로 전망하며 지난 7월 전망치보다 0.1%p 상향 조정했다. 이는 우리 경제가 점진적으로 회복 궤도에 진입할 가능성을 시사하는 분석으로 해석된다. IMF는 내년 한국 경제가 올해보다 대폭 높은 1.8% 성장할 것으로 내다봤으며, 이는 지난 7월 전망치를 그대로 유지한 수치다. 기획재정부는 IMF가 지난 14일 발표한 ’10월 세계경제전망’을 통해 이 같은 내용을 밝혔다.
이번 IMF의 한국 경제 성장률 전망 상향 조정은 전반적인 세계 경제의 개선 움직임과 더불어 한국 경제의 잠재 성장 능력 회복에 대한 기대감을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 IMF는 올해 세계 경제 성장률을 3.2%로 예측하며 지난 7월 전망치보다 0.2%p 높였다. 이는 미국의 관세 인하 및 유예로 인한 불확실성 완화, 경제 주체들의 양호한 적응력, 달러 약세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분석된다. 내년 세계 경제 성장률은 3.1%로 기존 전망치를 유지했다.
우리나라의 경우, 올해 성장률 0.9% 전망은 이러한 세계 경제 흐름과 맥을 같이 한다. 특히 주목할 부분은 내년 성장률 전망치 1.8%다. 이는 단순히 올해 대비 소폭 상승하는 수준을 넘어, 우리 경제가 잠재 수준의 정상 성장 궤도로 복귀할 수 있다는 긍정적인 전망을 담고 있다.
한편, IMF는 한국을 포함한 41개 선진국 그룹의 올해 성장률을 1.6%로 상향 조정했으며, 내년에도 1.6% 성장을 예측했다. 미국은 관세 인하, 감세 법안 통과, 금융 여건 완화 등에 힘입어 올해와 내년 모두 0.1%p씩 상향 조정된 2.0%, 2.1%의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된다. 신흥개도국 그룹의 경우, 올해 성장률은 4.2%로 상향 조정되었으며, 중국은 재정 확장 정책 등에 힘입어 올해와 내년 모두 기존 전망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보인다.
글로벌 물가상승률은 올해 4.2%, 내년에 3.7%로 하향 안정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전반적인 인플레이션 압력이 완화될 가능성을 시사한다.
그러나 IMF는 세계 경제의 리스크가 여전히 하방 요인에 더 기울어져 있다고 진단했다. 주요 하방 요인으로는 무역 불확실성, 이민 제한 정책으로 인한 생산성 악화, 재정 및 금융 시장 불안, 그리고 인공지능(AI) 등 신기술에 대한 재평가 가능성을 제시했다. 반면, 무역 갈등 완화, 각국의 구조개혁 노력 가속, AI 도입을 통한 생산성 향상 등은 세계 경제의 상방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이러한 분석은 한국 경제 역시 이러한 글로벌 리스크 요인과 상방 요인의 영향을 받으며 변동성을 보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IMF의 이번 전망은 한국 경제가 당면한 어려움 속에서도 회복의 조짐을 보이고 있으며, 미래 성장 잠재력을 회복할 수 있다는 희망적인 메시지를 전달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