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장품 제품 패키지에 담긴 작은 글씨 정보 때문에 불편함을 겪는 소비자들이 많다. 제품 사용법, 유의사항, 성분 등 중요한 정보를 제대로 확인하기 어렵다는 지적이 꾸준히 제기되어 왔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식품의약품안전처와 행정안전부가 ‘화장품 e-라벨’ 사업을 확대하고 있다. 이 사업은 제품의 필수 표기 정보를 디지털 라벨로 제공하여 소비자의 정보 접근성을 높이고자 한다.
기존 화장품 패키지는 제품명, 제조 번호, 사용기한 등 소비자가 자주 찾는 정보와 함께 안전 정보, 사용법 등 분량이 많은 추가 정보까지 좁은 면적에 집약해야 했다. 이로 인해 글씨가 지나치게 작아져 가독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했다. 화장품 e-라벨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핵심 정보는 패키지 겉면에 크고 명확하게 표기하고, 상세 정보는 QR코드를 통해 모바일 화면에서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을 도입했다. 소비자는 이제 휴대폰을 이용해 QR코드를 스캔하는 것만으로도 제품의 상세 정보를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포장 면적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되어 제조사 입장에서도 패키지 공간을 더욱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화장품 e-라벨 사업은 2024년 3월 1차 시범 사업을 시작으로, 올해 3월부터 내년 2월 말까지 2차 시범 사업을 진행 중이다. 1차 시범 사업에서 6개사 19개 제품을 대상으로 긍정적인 소비자 피드백을 얻은 후, 2차 시범 사업에서는 염모제, 탈염 및 탈색용 샴푸 등 제품군을 대폭 확대했다. 현재 13개사 76개 품목이 2차 시범 사업에 포함되어 운영되고 있다. 2차 시범 사업에는 기존 1차 시범 사업에서는 포함되지 않았던 염모제와 같은 제품군이 새롭게 추가되어 더 많은 소비자들이 e-라벨을 경험할 수 있게 되었다.
이 새로운 정보 제공 방식은 소비자들에게 여러 이점을 제공한다. 우선, 작은 글씨로 인한 정보 확인의 어려움을 해소하여 소비자의 편의성을 크게 높인다. 시력이 좋지 않은 사람들도 음성변환 기능(TTS) 도입 예정으로 인해 더욱 편리하게 정보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포장지 사용량을 줄임으로써 자원 절약에도 기여하여 친환경적인 소비를 유도할 수 있다. 화장품 e-라벨은 전자적 정보 제공 방식이므로 유효기간 없이 시공간의 제약 없이 정보 확인이 가능하다는 장점도 있다.
현재 시범 사업 대상 제품은 패키지 뒷면에서 “화장품 e-라벨 시범 사업 대상 제품입니다” 또는 “QR코드 스캔으로 상세 정보를 확인해 보세요”와 같은 문구를 통해 쉽게 구분할 수 있다. 정부는 향후 이 사업을 더욱 확대하여 소비자들이 화장품 정보를 더욱 쉽고 편리하게 접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화장품은 피부에 직접 닿는 제품인 만큼, 성분이나 사용법 등 필수 정보를 정확히 확인하는 것이 건강과 안전을 위해 매우 중요하다. 화장품 e-라벨은 이러한 정보 접근성의 장벽을 낮추어 소비자들의 현명한 선택을 도울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