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적으로 ‘역사의 섬, 호국의 섬’이라 불리며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인 고인돌부터 서구 열강의 침략을 막아온 최전선으로서 굵직한 족적을 남긴 강화도. 그러나 이러한 역사적 무게감 뒤편에는 시대의 변화 속에서 잊혀가는 직물 산업의 흔적과 이를 지탱해온 강화 여성들의 고단한 삶이 자리하고 있었다. 현재 ‘강화소창체험관’과 ‘동광직물 생활문화센터’로 재탄생한 폐 직물 공장 터는 이러한 잊혀진 역사를 복원하고 그 가치를 재조명하려는 노력의 결과물이다.
과거 강화는 수원과 더불어 우리나라 3대 직물 도시로 명성을 떨쳤다. 1933년 ‘조양방직’ 설립을 시작으로 1970년대까지 60개가 넘는 방직공장이 성업했으며, 4,000명에 달하는 직공들이 일할 만큼 지역 경제의 큰 축을 담당했다. 특히 강화는 독자적인 방식으로 직조되는 ‘소창’과 ‘왕골’로 유명했다. 일제강점기부터 면화를 수입해 가공하며 생산된 소창은 목화솜에서 뽑아낸 실로 짜여 옷감, 행주, 기저귀 등으로 널리 사용되었다. 문화해설사의 설명에 따르면, 당시 강화읍 권역에 집중된 60여 개의 공장에서 12시간씩 고된 노동에 시달리면서도 어린 직공들에게는 방직 공장 취업이 꿈이었을 만큼 경제적 중요성이 컸던 산업이었다.
이러한 직물 산업의 부흥과 더불어 강화 여성들의 억척스러운 삶의 방식 또한 엿볼 수 있다. 직물 공장에서 생산된 방직물을 들고 삼삼오오 모여 전국을 누비며 직접 판매에 나섰던 이른바 ‘방판’은 중간 마진 없이 판매하여 이윤을 남기려는 노력이었다. 북한의 개풍까지 찾아가거나, 배고픔을 참으며 끼니를 해결해야 했던 그 시절, 쉰밥이나 찬밥에 곁들여 먹었던 강화 새우젓은 먼 길을 떠난 이들에게 더없이 귀하고 요긴한 반찬이었다. 이는 강화 새우젓의 명성으로 이어져, 전국 물량의 70~80%를 담당하며 늦가을이면 섬을 들썩이게 하는 주요 생산품이 되었다.
강화의 짭조름한 새우젓은 단순한 젓갈을 넘어 지역 고유의 향토음식인 ‘젓국갈비’의 탄생으로 이어졌다. 갈비, 호박, 두부, 배추 등 다양한 재료가 조화를 이루지만, 이 음식의 진정한 주인공은 바로 새우젓이다. 새우젓이 주는 짭조름하고 감칠맛 나는 풍미는 재료 본연의 맛을 끌어올리며, 깊고 오묘한 맛을 선사한다. 이는 ‘대미필담(大味必淡)’, 즉 ‘진정한 맛은 담백하다’는 옛말처럼, 인공적인 맛으로는 흉내 낼 수 없는 자연스러운 맛의 정수를 보여준다.
이처럼 ‘강화소창체험관’과 ‘동광직물 생활문화센터’는 단순히 사라져가는 직물 산업의 흔적을 보존하는 것을 넘어, 그 이면에 담긴 강화 여성들의 삶의 애환과 지혜를 후세에 전하는 의미 있는 공간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잊혀진 역사를 복원하고 지역 특산물의 가치를 재발견하려는 노력은, 팍팍했던 삶 속에서도 희망을 잃지 않았던 강화 사람들의 억척스러움과 생명력을 다시금 되새기게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