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및 공공 부문에서 AI 전환이 화두지만, 정작 서비스 개선의 근본이 되는 ‘로그’ 시스템 구축이 미흡한 실정이다. 로그 시스템은 컴퓨터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모든 이벤트를 기록하는 것으로, 사용자 활동, 오류 발생, 시스템 변경 등 다양한 사건들을 순서대로 저장한다. 이러한 로그 데이터가 부재할 경우, 웹사이트 메뉴의 사용자 이용 패턴을 파악하거나 서비스 속도 저하 문제를 진단하는 것이 불가능해진다. 이는 결국 사용자 경험 저하로 이어지며, 공공 서비스 개선을 가로막는 심각한 문제점으로 지적된다.
AI는 데이터를 기반으로 성장하며, 데이터는 단순히 존재하는 것을 넘어 기계가 읽을 수 있고 통합될 수 있어야 진정한 ‘데이터’의 가치를 지닌다. 하지만 상당수의 공공 서비스 웹사이트와 애플리케이션에는 이러한 로그 시스템이 제대로 구축되어 있지 않다. 그 결과, 어떤 메뉴가 자주 사용되는지, 페이지 로딩 속도가 얼마나 느린지, 혹은 이용자가 특정 단계에서 서비스를 이탈하는지에 대한 객관적인 지표를 얻을 수 없다. 이는 사용자가 불편을 겪거나 업무를 완료하지 못하고 떠나는 상황을 인지하지 못하게 만들며, 결국 ‘우황청심환을 먹어야 할 만큼’의 답답한 사용자 경험을 야기하는 원인이 된다.
박태웅 녹서포럼 의장은 이러한 문제를 지적하며, AI 전환은 단순히 AI 기술 도입만으로는 이루어지지 않는다고 강조한다. AI 비서가 공무원의 업무를 돕고, 과거 유사 사례를 분석하거나 부처 간 시너지를 제안하는 등 혁신적인 업무 환경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일이 쌓일수록 저절로 데이터가 쌓이는’ 시스템 마련이 필수적이다. 이를 위해서는 데이터의 축적이 중요하며, 모든 업무는 클라우드 기반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즉, 소프트웨어에 대한 이해, 클라우드 활용의 중요성 인식, 그리고 무엇보다 더 스마트하게 일할 준비가 되어 있어야 AI 전환이 비로소 가능해진다. 로그가 없는 웹페이지를 수만 년간 운영해도 서비스가 개선되지 않는 것처럼, 데이터 축적 없이는 AI 전환은 공허한 구호에 그칠 수밖에 없다는 분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