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절에 빼놓을 수 없는 풍성한 음식은 즐거운 시간을 선사하지만, 종종 남는 음식물 처리 문제를 야기한다. 특히 갈비찜, 잡채, 전 등은 명절의 상징과도 같은 음식이지만, 몇 가지 재료가 남을 경우 무심히 냉장고에 보관되기 십상이다. 이는 단순히 음식을 버리는 것을 넘어, 귀한 식재료의 가치를 놓치는 행위로 볼 수 있다. 명절을 풍요롭게 했던 음식들을 색다른 요리로 재탄생시켜 음식물 쓰레기를 줄이고 새로운 맛의 즐거움을 경험하는 지혜가 필요한 시점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박찬일 셰프는 남은 명절 음식을 활용한 두 가지 새로운 레시피를 제안한다. 첫 번째는 ‘갈비찜 잡채볶음밥’으로, 명절의 풍미가 고스란히 담긴 갈비찜 양념과 남은 잡채를 활용하는 요리다. 냄비에 남아있는 갈비찜 양념과 살점, 물러진 채소를 활용하여 볶음밥의 밑간을 완성한다. 여기에 고추장 반 큰술과 남은 잡채, 김가루를 더하면 별도의 식용유 없이도 기름진 풍미를 살린 볶음밥을 만들 수 있다. 고추장 대신 신김치를 다져 넣으면 또 다른 매력의 볶음밥을 즐길 수 있으며, 셰프는 맛을 보장한다고 말한다.
두 번째 제안은 ‘전 두루치기’다. 명절에 빠지지 않는 전, 특히 두부전이 남았다면 두루치기로 변신시킬 수 있다. 잘 익은 김치, 파, 고춧가루, 다진 마늘, 캔 참치, 치킨스톡을 주재료로 한다. 냄비에 식용유를 두르고 다진 마늘과 파를 볶다가 캔 참치와 물, 치킨스톡을 넣고 끓인다. 여기에 먹기 좋게 자른 김치와 전을 넣고 고춧가루를 더해 바글바글 끓이면 즉석 요리 같은 두루치기가 완성된다. 전에서 우러나온 기름이 국물을 진하고 깊게 만들어주며, 부족한 간은 국간장이나 소금으로 맞추면 된다. 이처럼 명절 후 남은 음식들은 조금의 아이디어만 더하면 새로운 요리로 재탄생하여 식탁을 더욱 풍성하게 만들 수 있다.
박찬일 셰프는 오랜 기간 음식 재료와 사람들의 이야기에 귀 기울이며 노포 식당 이야기를 소개해 온 전문가다. 그의 이번 제안은 단순히 요리법을 넘어, 명절 음식의 가치를 재조명하고 음식물 쓰레기를 줄이려는 실천적인 방안을 제시한다. 명절을 마무리하며 남은 음식들을 버리지 않고 새로운 맛으로 즐기는 경험은 더욱 의미있는 시간이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