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과 콜롬비아는 지구 반대편에 위치해 지리적으로는 멀리 떨어져 있지만, 커피라는 매개체를 통해 서로의 문화를 깊이 이해하고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다는 점은 흥미로운 지점이다. 이러한 문화 교류의 중요성을 일깨우고 국민들의 직접적인 참여를 이끌어내기 위한 ‘제7회 공공외교주간’이 현재 진행 중이다. 정부 간의 공식적인 외교 활동과는 달리, 문화와 예술을 중심으로 국민들 간의 신뢰와 호감을 쌓는 ‘공공외교’의 가치를 체험할 수 있는 이 축제는 외교부와 한국국제교류재단(KF)이 공동으로 주최하고 있다.
올해로 7회를 맞이하는 공공외교주간은 지난 9월 8일부터 27일까지 KF 글로벌 센터와 각국 대사관, 서울광장 등 다채로운 장소에서 펼쳐지고 있다. 이번 행사에서는 한국의 공공외교 현장과 문화를 한자리에서 경험할 수 있도록 다양한 워크숍, 포럼, 전시, 공연 등이 풍성하게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행사는 참가자들이 서로의 나라를 더 잘 이해하게 됨으로써 국제 사회 내 협력을 강화할 수 있는 호감과 신뢰를 구축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공공외교주간의 다양한 프로그램 중 필자는 딸과 함께 ‘콜롬비아 스페셜티 커피의 놀라운 세계’라는 워크숍에 참여했다. 성인이 되어 커피를 즐기기 시작한 딸에게 콜롬비아 현지 전문가로부터 직접 커피 이야기를 들을 수 있는 기회는 무척 특별하게 다가왔다. 워크숍이 진행된 19층 세미나실에는 콜롬비아의 상징인 전통 모자가 놓여 있어 참가자들의 흥미를 더했다.
이날 알레한드로 주한 콜롬비아 대사는 콜롬비아 커피의 역사와 중요성, 그리고 커피 재배 지역에 대한 설명을 이어갔다. 그는 콜롬비아가 세 개의 산맥과 화산재 토양 덕분에 연중 커피 재배가 가능하며, 손으로 수확하고 100% 아라비카 원두를 사용하여 부드러운 맛을 낸다고 설명했다. 또한, 콜롬비아에서는 전통적으로 천으로 만든 필터에 커피를 거르고 ‘파넬라’라는 콜롬비아 설탕을 넣어 즐긴다고 소개했다. 커피가 가정에서 시작하여 점차 전문 시설로 확산되었고, 1·2차 세계대전을 거치며 수요가 증가했다는 역사적 배경도 덧붙였다. 더불어, 광활한 커피 재배 지역이 유네스코 문화유산으로 등재되어 있어 커피 관광으로도 인기가 높다고 언급했다.
이어서 콜롬비아 커피 전문가인 강병문 씨는 워시드 방식의 커피 제조 과정을 시연하며, 비가 많이 오는 콜롬비아의 기후 특성상 빠른 발효와 부패 위험 감소를 위해 워시드 방식을 선호한다고 설명했다. 시연 후에는 두 종류의 콜롬비아 커피를 시음하며 참가자들이 각기 다른 향과 맛에 대한 선호도를 나누는 시간이 이어졌다. 필자와 딸 역시 서로 다른 커피에 대한 의견을 나누며 같은 커피라도 취향이 다를 수 있다는 점에 흥미를 느꼈다.
커피 외에도 콜롬비아가 한국과 긴밀한 관계를 맺고 있다는 점도 강조되었다. 6·25 전쟁 당시 파병으로 한국을 도왔던 역사적 배경과 더불어, 양국 간 무비자 협정으로 인해 콜롬비아를 방문하는 것이 편리하다는 점이 언급되며 양국 간의 친밀감이 더욱 부각되었다. 콜롬비아 모자를 쓰고 함께 기념사진을 찍으며, 거리라는 물리적인 제약을 넘어 문화적 교류를 통해 더욱 가까워질 수 있다는 확신을 얻었다.
한편, 지난 8월 29일 외교부는 내년도 예산안을 통해 국민 참여형 공공외교 사업을 확대하고 신기술을 활용한 디지털 공공외교를 강화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올해 한국에서 다수의 국제 행사가 개최되었거나 개최될 예정이며, 특히 한 달여 뒤 열리는 APEC 회의 개최국으로서 민간외교의 중요성은 더욱 강조되고 있다.
이번 공공외교주간과 같이 국민들이 직접 참여하고 문화를 체험할 수 있는 프로그램은 외교의 영역이 정부만의 것이 아니라 국민 모두의 참여와 지지가 필수적임을 보여준다. 국민의 바람과 의견이 담긴 외교는 그 어떤 것보다 끈끈하고 강력한 관계를 구축할 수 있다. 9월 27일까지 이어지는 공공외교주간의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 공공외교의 진정한 의미를 깨닫고, 우리 스스로가 공공외교의 주인공이라는 인식을 갖게 되기를 기대한다. 필자는 오는 26일에 열리는 스페인 행사에도 아들과 함께 참석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