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9월 동행축제’가 마무리된 가운데, 내수 시장 침체와 소상공인들의 어려움이라는 만성적인 문제에 대한 해결책으로서 이번 행사가 거둔 성과와 그 의미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다. 동행축제는 본래 내수 소비를 활성화하고 소상공인의 매출 증대를 목적으로 기획된 전국 단위의 소비 촉진 행사로, 이번 9월 축제는 민생 회복을 위한 소비 분위기 확산에 중점을 두고 다양한 온·오프라인 행사와 이벤트를 전개했다.
이번 동행축제를 통해 총 6634억 원이라는 상당한 규모의 매출이 집계되며 내수 시장에 긍정적인 활력을 불어넣은 것으로 파악됐다. 구체적으로 온라인 판매전에서 6307억 원, 오프라인 판매전에서 327억 원의 직접 매출이 발생했으며, 더불어 온누리상품권 4856억 원과 지역사랑상품권 2412억 원의 판매는 지역 경제 활성화에도 기여했다.
온라인 판매전은 2만 7000여 개의 판매자가 참여하여 6307억 원의 매출을 기록하며 판로 확대의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특히 롯데온의 ‘동행제품100’ 기획전에서는 동아식품의 김가네 식탁 감자탕이 전년 동기 대비 26배, 호정식품의 옛날 도나스는 13배 이상의 매출 증가를 기록하는 등 온라인 플랫폼에서의 성공 사례를 제시했다. 쿠팡에서 진행된 기획전 역시 다정한 마켓의 반려동물 간식껌과 부쉬맨의 워터프루프 선크림이 각각 6400만 원, 6000만 원의 매출을 올리며 주목받았다.
오프라인 판매전에서는 144곳의 지역 행사와 정책 매장을 통해 327억 원의 매출을 달성했다. 전국적인 소비 회복과 소상공인 활력 제고라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비수도권 지역과 인구감소 지역의 행사 비중을 늘린 점이 특징적이며, 전체 행사 중 비수도권이 76%, 인구감소 지역이 24%를 차지했다. 제주 개막식은 1만 8000명이 방문하는 등 성황리에 진행되었으며, 제주 지역 소상공인 51개 사가 참여한 판매전에서 8500만 원의 매출을 올리고 이 중 8개 업체는 첫날 완판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롯데백화점(잠실점) 상생판매전에서는 50개 소상공인 업체가 참여하여 1억 원의 매출을 기록하며 대기업, 소상공인, 전통시장이 함께 성장하는 유통 구조 마련에 기여했다.
이와 더불어 상생소비복권과 다양한 민간 기업 주도의 소비 촉진 이벤트도 눈길을 끌었다. 1000만 명이 응모한 상생소비복권 이벤트는 전통시장과 소상공인 매장에서 5만 원 이상 카드 결제 시 추첨을 통해 10억 원 규모의 디지털 온누리상품권을 지급하는 방식으로, 소비자의 참여를 유도했다. 7개 TV홈쇼핑사와 7개 카드사 또한 중소기업 및 소상공인 제품 판매 확대를 위한 특별 혜택과 캐시백, 할인 혜택을 제공하며 골목상권 활성화에 동참했다. 배달의민족은 제주 지역 쿠폰 발급과 더불어 집중호우 피해 지역 소상공인을 위한 추가 할인 쿠폰을 제공하며 지역 경제 회복 지원에 나섰다.
중소벤처기업부 소상공인정책실장은 “따뜻한 소비가 소상공인에게 희망의 불씨가 되고 우리 경제에 힘찬 숨결을 불어넣는다”고 말하며, 향후 할인 축제를 통합하여 10월 29일부터 11월 9일까지 개최될 ‘코리아 그랜드 페스티벌’을 통해 쇼핑, 여행, 문화 등 다채로운 소비 혜택을 제공할 예정임을 밝혔다. 이러한 다각적인 노력들은 소비 심리 위축과 소상공인 경영난이라는 당면 과제를 해결하고, 궁극적으로는 지속 가능한 내수 경제 활성화라는 목표를 달성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