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우리말이 외래어의 범람 속에서 그 본연의 의미와 가치를 잃어가고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 배경 속에서 2025년 10월 9일(목), 한글날을 맞아 대학생 연합 동아리 <우리말 가꿈이>가 한자리에 모여 우리말의 소중함을 되새기는 기념행사를 개최했다. 이번 행사는 서울 올림픽공원 피크닉장에서 오전 10시부터 오후 4시까지 진행되었으며, 우리말을 제대로 알아가고 친숙해질 수 있는 다채로운 프로그램으로 채워졌다.
이번 행사가 열린 배경에는 우리말 사용의 심각한 문제점이 자리하고 있다. 일상생활에서 외래어 사용이 너무나 자연스러워져 우리말의 존재감마저 희미해지고 있다는 점은 안타까운 현실이다. <우리말 가꿈이>는 이러한 공공언어의 위기를 인지하고, 젊은 세대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통해 우리말을 보존하고 발전시키고자 이번 행사를 기획했다. 잔디밭 위에 설치된 다양한 부스들은 우리말에 대한 관심을 고취시키고, 쉽고 재미있는 방식으로 우리말을 접할 기회를 제공했다.
행사의 주요 프로그램은 우리말 겨루기, 공공언어 개선 캠페인, 사투리 퀴즈, 사진 체험관 등으로 구성되었다. 특히 <사투리 어디까지 알아?> 부스에서는 지역별 사투리의 다양성을 지도에 직접 적어보며 흥미롭게 알아가는 시간을 가졌다. ‘재래기’와 같이 지역 특색을 담은 단어들을 통해 몰랐던 사투리의 존재를 인지하고, 그 안에 담긴 지역 문화의 풍성함을 느낄 수 있었다. 더불어 <열쇠고리랑 엽서랑> 부스에서는 순우리말의 아름다움을 캘리그라피로 표현하며 엽서를 꾸미는 체험을 통해 우리말의 깊이 있는 의미를 되새겼다.
<우리말 겨루기> 부스에서는 올바른 문장을 고르는 게임을 통해 맞춤법과 문장 사용 능력을 향상시키는 기회를 제공했다. 정답을 맞히면 우리말 가꿈이 전용 물티슈를 증정하는 등 참여를 독려했다. <우리말 가꿈이랑 친구맺자> 부스에서는 한글의 근본적인 의미, 예를 들어 ‘한’이 ‘크고 으뜸 되는’ 것을 뜻한다는 사실을 배우며 한글에 대한 새로운 인식을 갖게 되었다. <사랑하자 공공언어> 부스에서는 ‘인스타그램 스토리에 나 태그해 줘’와 같은 일상적인 표현을 우리말로 바꾸는 퀴즈를 통해 외래어 사용의 습관성을 인지하고, ‘누리소통망’, ‘언급’과 같은 우리말 대체어를 배우며 공공언어 개선의 중요성을 깨닫게 되었다.
이번 <우리말 가꿈이>의 한글날 기념행사는 단순한 오락적 성격을 넘어, 우리말의 현실적인 위기를 진단하고 이에 대한 젊은 세대의 적극적인 대처 방안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큰 의미를 지닌다. 행사에 참여한 사람들은 5개의 도장을 모으면 파우치를 선물로 받는 방식으로 모든 프로그램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다. 이러한 노력은 결국 우리말을 더 깊이 이해하고, 일상에서 올바르게 사용하려는 의지를 고취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행사가 올림픽공원이라는 접근성 좋은 장소에서 열린 덕분에, 참여자들은 행사를 즐긴 후 주변을 둘러보며 가을날의 여유를 만끽할 수 있었다. <우리말 가꿈이>와 같은 대학생들의 헌신적인 노력은 한글을 아끼고 보존하려는 젊은 세대의 열정을 보여주며, 우리말의 미래에 대한 긍정적인 전망을 제시한다. 이러한 활동이 전국 22곳의 국어문화원에서 10월 한 달간 이어질 예정이라는 점은 더욱 고무적이다. <우리말 가꿈이>는 앞으로도 우리말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지키는 문화가 사회 전반에 자리 잡기를 바라며, 내년 한글날을 다시 기다리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