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어디나 비슷한 양식과 제복을 갖춘 관공서와 경찰이 존재하지만, 말씨와 차림새, 그리고 다양한 습속은 지역마다 뚜렷한 차이를 보이며 세상의 흥미를 더한다. 이는 음식의 영역에서도 마찬가지다. 비슷한 음식이라 할지라도 지역마다 고유의 미묘한 변주가 존재하며, 이러한 차이가 바로 음식의 맛을 더욱 풍부하게 만든다. 중국 화교들이 시작한 짜장면과 짬뽕조차 지역별로 조금씩 다른 맛을 내는 것처럼 말이다. 만약 전국 화교 중국집 연합회가 통일된 메뉴를 결의한다 해도, 각자의 주방으로 돌아가면 고향의 맛을 잊지 못하고 자신만의 레시피로 돌아갈 가능성이 높다. 이는 손님들의 “옛날 같지 않다”는 평가에 뜨끔하여 자신만의 방식을 고수하게 되기 때문이며, 음식이 달라야 제맛을 낸다는 인식이 있기 때문에 굳이 통일할 필요도 없는 것이다.
서울에서 콩나물국밥은 단순한 ‘요리’로 여겨지지 않는 경우가 많다. 식당에서 백반을 주문하면 기본으로 제공되는 국 중 하나로, 특별한 기대 없이 받아들이기 쉽다. 콩나물이 푹 퍼져 있거나 건더기 없이 밍밍한 맛 때문에 실망감을 안기기도 했던 콩나물국은, 값싼 콩나물만을 재료로 사용하다 보니 별다른 맛을 기대하기 어려웠다. 그러나 전라북도, 특히 전주를 중심으로 한 지역에서는 이러한 콩나물국밥에 대한 인식이 완전히 달라진다.
전라북도에서 콩나물국밥은 단순한 백반 메뉴를 넘어, 지역을 대표하는 특별한 음식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주문 과정부터 일반적인 국밥집과는 확연히 다르다. 수란이나 날계란, 오징어 추가 여부, 밥을 토렴할지 따로 낼지 등 세부적인 선택지가 존재하며, 이러한 방식은 가게마다, 동네마다, 지역마다 조금씩 다르게 나타난다. 현지인처럼 제대로 콩나물국밥을 맛보기 위해서는 “여기는 어떻게 시켜요?”라고 먼저 물어보는 것이 현명한 방법이다. 그러면 주인은 말없이 옆자리의 단골이나 다른 손님을 통해 주문 방법을 알려줄 것이고, 이를 통해 외지인은 자연스럽게 지역의 맛을 경험하게 된다. 이는 마치 매출 상승과 외부인 안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는 ‘일거삼득’의 상황과도 같다.
전주 남부시장의 한 국밥집에서 경험한 콩나물국밥은 특히 인상적이다. 차가운 새벽 공기가 감도는 시장 안에서, 주문이 들어오면 ‘이모’가 국을 담은 투가리를 테이블에 올린다. 이후 하이라이트는 손님 앞에서 직접 마늘과 매운 고추, 파를 다져 얹는 과정이다. 미리 썰어둔 양념과 즉석에서 다져 올린 양념은 음식의 향과 맛에서 천양지차를 보인다. 이러한 정성스러운 조리 과정은 영세한 국밥집의 운영 방식을 걱정하게 만들기도 하지만, 동시에 완성되는 콩나물국밥의 멋을 더한다.
전주는 물론 익산, 군산 등 전북 지역 곳곳에는 콩나물국밥으로 유명한 가게들이 즐비하다. “세 집 건너 하나는 콩나물국밥집”이라는 말이 있을 정도로 대중적인 사랑을 받고 있으며, 전날 과음한 이들이 줄고 먹거리가 다양해진 시대임에도 불구하고 전북을 방문한다면 반드시 맛봐야 할 음식으로 손꼽힌다.
마지막으로, 택시 기사에게 맛집을 물어볼 때는 함부로 묻지 않는 것이 좋다. 전북에는 오랜 전통을 자랑하는 명가들은 물론, 지역마다 떠오르는 신흥 강호들이 너무나 많기 때문에 기사님들이 즉답을 하지 못하고 골머리를 앓게 될 수 있다. 이는 외지인에게 온정을 베풀고자 하는 기사님들의 마음씨 덕분이기도 하지만, 그만큼 맛있는 콩나물국밥집이 많다는 방증이기도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