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절 연휴는 가족과 함께하는 즐거운 시간이어야 하지만, 갑작스러운 질병이나 사고로 응급 상황에 놓인 환자들에게는 의료기관 접근성이 떨어지는 절박한 시간이다. 특히 이번 추석 연휴 동안 119 상담 건수가 평시 대비 73.8% 폭증하며, 위급한 상황에서 적절한 치료를 받기 위한 병원 선정 및 신속한 이송 시스템의 허점이 여실히 드러났다. 전국 119구급상황관리센터를 중심으로 비상근무체계가 가동되었으나, 증가하는 응급 상황에 효율적으로 대처하기 위한 근본적인 문제 해결이 시급한 과제로 떠올랐다.
이러한 문제의식 속에서 소방청은 추석 연휴 기간 동안 전국 20개 119구급상황관리센터에 간호사와 1급 응급구조사 등 전문상담 인력을 204명(60.4%) 보강하고, 수보대(상담 전화를 받는 자리)를 하루 평균 29대(34.5%) 증설하는 등 구급상황관리 역량을 강화했다. 119구급상황관리센터는 단순히 상담 전화를 받는 것을 넘어, 의료기관 병상 정보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구급대와 의료기관 간의 중추적인 조정자 역할을 수행했다. 또한, 질병 상담 및 응급처치 지도를 통해 의료기관 이송이 불필요한 비응급환자들에게는 가정에서의 응급대처 방안을 안내하며 불필요한 병원 방문을 줄이는 데 기여했다.
추석 연휴 동안 발생한 5만 6151건의 119 상담 중 병의원 안내가 59.8%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으며, 이는 명절 기간 동안 일반 의료기관 이용에 어려움을 겪는 시민들의 높은 수요를 방증한다. 더불어 119구급상황관리센터는 의료기관 당직 현황 및 병상 정보를 구급대에 실시간으로 공유함으로써, 생명이 위급한 중증응급환자가 발생했을 때 신속하게 이송 병원을 선정하고 연계 대응하는 데 주도적인 역할을 강화했다. 이러한 유기적인 협력 체계는 경북 지역의 소아 환자들을 서울·경기 지역의 병원으로 소방헬기를 이용해 긴급 이송하고, 충북과 전북 지역에서 조산 위험 임신부의 안전한 이송 및 출산을 지원하며, 전남 흑산도에서는 뇌혈관 질환 의심 환자를 해경과 협력하여 육지 의료기관으로 이송하는 등 생명 골든타임 확보에 결정적인 기여를 했다.
이러한 일련의 사례들을 통해 현장 구급대원의 신속한 병원 이송 지원과 의료기관의 환자 우선 수용 및 평가, 필요한 경우 다른 병원으로의 전원 체계 마련은 응급이송체계의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소방청은 앞으로도 환자 상태에 따라 119구급대 또는 119구급상황관리센터에서 병원을 선정할 수 있도록 병원 선정 주체를 명확화하는 제도 개선을 추진하여, 응급의료 시스템의 신속하고 체계적인 작동을 도모할 방침이다. 김승룡 소방청장 직무대행은 “많은 의료기관이 문을 닫는 긴 연휴 기간에도 지자체와 유관기관의 협력으로 안정적으로 대응했다”고 평가하며, “불안을 줄이고 신속하고 적절한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응급이송체계 고도화와 관련 정책 추진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이러한 노력들이 결실을 맺어 환자들이 위급한 순간에도 안심하고 적절한 의료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사회가 되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