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7월 전망보다 0.1%p 상향 조정된 0.9%의 올해 한국 경제성장률 전망치가 나왔다. 국제통화기금(IMF)은 10월 세계경제전망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밝히며, 내년에는 올해보다 대폭 높은 1.8% 성장을 내다봤다. 이는 단순히 수치를 제시하는 것을 넘어, 현재 한국 경제가 직면한 어려움과 앞으로 나아갈 방향에 대한 중요한 시사점을 던진다.
IMF가 이러한 전망을 내놓은 배경에는 복합적인 경제 환경이 자리 잡고 있다. 글로벌 경제는 미국의 관세 인하 및 유예 조치로 인한 불확실성이 다소 완화되었고, 경제 주체들은 재고 조정과 무역 경로 재편이라는 현실에 양호하게 적응하는 모습을 보였다. 또한, 달러 약세 역시 긍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하며 전 세계 경제 성장률 전망치를 0.2%p 상향된 3.2%로 예측하게 했다. 이러한 글로벌 흐름 속에서 한국 경제 또한 이러한 대외 여건 변화의 영향을 받으며, 올해 0.9%, 내년 1.8%라는 성장률 전망치를 기록하게 된 것이다. 특히 내년 1.8% 성장률은 한국 경제가 잠재 성장 수준의 정상 궤도로 복귀할 것이라는 기대를 담고 있다.
이러한 IMF의 전망은 41개 선진국 그룹의 성장률 역시 상향 조정된 점, 그리고 미국과 중국 등 주요 국가들의 성장률 전망치가 긍정적으로 수정된 것과 맥을 같이 한다. 미국의 경우 관세 인하, 감세 법안 통과, 금융 여건 완화 등에 힘입어 올해 2.0%, 내년 2.1%의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되었으며, 중국 역시 조기 선적과 재정 확장 정책의 영향으로 올해 4.8%, 내년 4.2%의 성장률을 유지할 것으로 예측되었다. 이는 한국 경제가 직면한 어려움이 글로벌 경제 전반의 현상과도 연결되어 있음을 시사한다.
글로벌 물가상승률은 올해 4.2%, 내년 3.7%로 전반적인 하향세를 보일 것으로 예측되는 점은 긍정적이지만, IMF는 세계 경제의 위험 요인이 여전히 하방으로 기울어져 있다고 진단했다. 주요 하방 요인으로는 무역 불확실성, 이민 제한 정책으로 인한 생산성 악화, 재정 및 금융 시장 불안, 그리고 AI 등 신기술에 대한 재평가 가능성이 제시되었다. 이는 한국 경제 또한 이러한 글로벌 위험 요인에 노출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하지만 IMF는 무역 갈등 완화와 각국의 구조 개혁 노력 가속, 그리고 AI 도입을 통한 생산성 향상 등이 세계 경제의 상방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내다봤다. 이는 앞으로 한국 경제가 풀어 나가야 할 숙제를 명확히 보여준다. 대외 불확실성에 대한 면밀한 관리와 더불어, 혁신적인 기술 도입과 과감한 구조 개혁을 통해 잠재 성장력을 끌어올리는 것이 내년 1.8% 성장률 전망을 현실로 만들고, 한국 경제를 지속 가능한 성장 궤도로 안착시키는 열쇠가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