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화 지역의 오랜 역사와 문화가 담긴 ‘소창’ 직물 산업과 특산품 ‘새우젓’이 지역 경제 활성화의 중요한 열쇠로 떠오르고 있다. 과거 60개가 넘는 방직공장이 성행했던 강화는 이제 폐 공장을 문화 공간으로 재탄생시키고, 풍부한 자원을 활용한 향토 음식을 통해 새로운 관광 자원 및 경제 동력으로 삼으려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러한 배경에는 도시화와 산업화로 인해 쇠퇴했던 지역 산업을 되살리고, 동시에 지역 고유의 정체성을 확립하려는 복합적인 문제의식이 자리 잡고 있다.
이러한 지역 경제의 활성화라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구체적인 솔루션으로, 강화군은 폐 소창 공장인 ‘동광직물’을 ‘동광직물 생활문화센터’로, 1938년에 건축된 ‘평화직물’ 터를 ‘소창체험관’으로 새롭게 개관하여 운영하고 있다. 이 공간들은 과거 강화의 주요 산업이었던 소창과 인견 제조의 역사와 문화를 보존하고, 방문객들에게 직접 체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특히 1933년 강화 최초의 인견 공장 ‘조양방직’ 설립 이후 1970년대까지 60여 곳이 넘는 방직공장이 있었고, 현재에도 6개의 소창 공장이 옛 방식 그대로 소창을 직조하고 있다는 사실은 강화 직물 산업의 중요성을 방증한다.
강화소창체험관과 동광직물 생활문화센터에서는 과거 강화 여성들이 직접 방직물을 둘러매고 전국을 다니며 판매했던 ‘방판’ 문화와, 그 과정에서 간편한 찬으로 사용되었던 강화 새우젓에 대한 생생한 이야기를 들을 수 있다. 강화 새우젓은 서해안 전 지역에서 잡히는 젓새우와 달리, 드넓은 갯벌과 한강, 임진강 등 두 개의 거대한 강물이 바다로 흘러드는 지리적 이점 덕분에 월등히 뛰어난 맛을 자랑한다. 짠맛보다는 들큼하면서도 담백한 맛이 특징이며, 이는 늦가을 김장철이면 강화 섬을 들썩이게 할 정도이다.
이러한 강화 새우젓의 풍미는 지역 고유의 향토 음식인 ‘젓국갈비’로 계승된다. 젓국갈비는 새우젓을 주재료로 하여 갈비, 배추, 호박, 두부 등 다양한 재료의 맛을 조화롭게 끌어올리는 음식으로, 인공 조미료로는 흉내 낼 수 없는 깊고 감칠맛 나는 맛을 선사한다. 이는 ‘대미필담(大味必淡)’이라는 말처럼, 정말 맛있는 음식은 반드시 담백하다는 격언을 실감케 한다. 애호박과 배춧잎의 단맛, 그리고 새우젓이 선사하는 미미한 감칠맛의 조화는 젓국갈비를 강화의 특별한 미식으로 자리매김하게 한다.
이처럼 강화는 소창 직물 산업의 부활과 새우젓을 활용한 향토 음식 개발을 통해 과거의 영광을 재현하고 지역 경제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고 있다. ‘소창체험관’과 ‘동광직물 생활문화센터’는 단순히 과거를 보여주는 공간을 넘어, 지역의 역사와 문화를 체험하고 이를 통해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는 중요한 거점으로 기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는 쇠퇴 위기에 놓인 지역 산업을 문화 콘텐츠와 결합하여 성공적으로 되살릴 수 있음을 보여주는 사례가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