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년 전, 합격만 하면 어떤 어려움도 웃으며 헤쳐나갈 수 있을 것이라 믿었던 공무원 시험 준비생의 마음은 이제 충주시 주덕읍 행정복지센터에서 민원 업무를 수행하는 김윤서 주무관에게 닿아 있다. 국가공무원 공채 시험이 치러지던 날, 동료 주무관에게서 전해 들은 시험장의 뜨거운 열기는 김 주무관을 7년 전 좁고 어두운 동굴 같았던 수험 시절로 이끌었다. 당시 ‘처음의 마음을 잊지 않는 공무원이 되겠다’는 다짐을 했던 자신을 돌아보며, 7년이라는 시간이 흐른 지금 그 다짐이 얼마나 지키기 어려운 말이었는지 뒤늦게 깨닫고 있다고 한다.
김 주무관이 겪는 어려움은 단순히 개인적인 감정의 동요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매일 수많은 민원인이 방문하는 읍행정복지센터에서의 일상은 분주하다. 서류 발급, 전입신고 등의 민원 업무를 처리하며 아기의 출생신고를 받고 책임감을 느끼거나, 사망신고를 받으며 슬픔을 나누는 경험은 공직 업무의 꽃이라 할 수 있는 민원 업무가 지닌 무게감을 여실히 보여준다. 길거리의 수많은 사람들이 자신을 스쳐 지나갔던 민원인 같았고, 마음속으로 그들의 목소리를 들으며 일에 대한 감정이 무너져 있음을 느꼈다고 한다. 이러한 내면의 어려움 속에서도, ‘처음 마음’을 되새기게 된 계기는 예상치 못한 곳에서 찾아왔다.
국가적인 재난 상황인 산불이 ‘심각’ 단계로 격상됨에 따라, 김 주무관은 일요일에도 산불 근무에 나섰다. 읍장님을 포함한 동료 직원들과 함께 마을을 순찰하며 주민들에게 산불 예방 및 대처 요령을 안내하는 과정에서, 일에 대한 의식이 새롭게 깨어났다고 한다. 비록 마을 지리에 어두워 꼼꼼하게 살펴보지 못했지만, 벚꽃도 채 피기 전인 산 중턱에서 성묘객들에게 산불 예방 홍보지를 나누어주며 조심을 당부하는 작은 노력을 통해 공무원으로서의 역할을 다시 한번 느꼈다. 또한, 여러 유관기관에서 산불 피해 복구를 위한 성금 기부가 이어지고, 동료 주무관이 성금 접수로 바쁜 모습을 보며, 우리가 사는 지역사회가 서로 돕고 보듬는 공동체임을 확인했다.
이러한 경험들을 통해 김 주무관은 공무원이란 ‘주민들이 상생할 수 있도록 돕는 다리’와 같다는 생각을 더욱 확고히 하게 되었다. 사람들이 안전하게 건너편으로 나아가 서로 만나 돕고 살 수 있도록 자신의 등을 내어주는 존재로서, 김 주무관은 가장 강하고 튼튼한 돌다리가 되고 싶다는 의지를 드러낸다. 과거 벽을 더듬으며 한 걸음씩 느릿하게 걷던 시절을 넘어, 이제는 분명한 목적지를 향해 빠르게 뛰어나가겠다는 김 주무관의 다짐은 공직에 대한 새로운 열정과 책임감을 보여준다. 이는 매일의 민원 업무 속에서 성장통이자 글감으로 다가오는 수많은 일화를 통해 ‘내가 건넨 한마디가 누군가의 삶을 변화시킬 수 있다’는 믿음으로 업무에 임하는 그의 태도를 반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