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4월 5일, 국가공무원 공개 채용 시험이 치러졌다. 시험장의 풍경은 예년과 다름없이 엄숙하고 진지했으며, 한 교실에 열아홉 명이나 되는 응시자가 몰려들어 공무원에 대한 높은 관심을 다시 한번 보여주었다. 하지만 이러한 열기 속에서도, 많은 공무원들은 자신이 처음 공직에 발을 들였던 순간의 다짐과 현재의 현실 사이에서 고민을 안고 살아간다. 특히 7년 전 공무원 시험 준비생이었던 김윤서 충주시 주덕읍 행정복지센터 주무관의 경험은 이러한 고민을 명확하게 드러낸다. 당시 김 주무관은 합격만 하면 어떤 어려움도 웃으며 헤쳐나갈 수 있을 것이라 믿었지만, 7년이 지난 지금, 민원 업무를 처리하며 그 다짐이 얼마나 지키기 어려웠는지를 뒤늦게 깨닫고 있다.
김 주무관의 이야기는 공직자가 마주하는 근본적인 어려움을 시사한다. 복잡하고 다양한 민원을 처리하며 때로는 감정이 무너질 때도 있지만, 이러한 어려움 속에서 그는 예상치 못한 곳에서 초심을 되새길 기회를 얻는다. 산불 단계가 ‘심각’으로 격상되었던 날, 김 주무관은 읍장 및 동료 직원들과 함께 마을을 순찰하며 주민들에게 산불 예방 홍보물을 전달했다. 벚꽃 시즌임에도 상춘객 없이 조용했던 마을, 성묘객들에게 산불 예방을 당부하는 과정에서 그는 자신이 맡은 역할의 중요성을 다시금 느꼈다. 이는 국가적 재난 상황 속에서 공무원이 지역사회에 기여하는 바를 재확인하는 계기가 되었다. 또한, 여러 유관기관에서 이어지는 산불 피해 복구 성금 기부는 지역사회가 서로 돕고 보듬는 공동체임을 보여주며, 그 안에서 공무원의 역할에 대한 깊은 성찰을 이끌어냈다.
결론적으로, 김윤서 주무관은 7년 동안의 공직 생활을 통해 공무원이란 주민들이 상생할 수 있도록 돕는 ‘다리’와 같다는 결론에 도달한다. 사람들이 안전하게 건너편으로 나아가 서로 돕고 살 수 있도록 자신의 등을 내어주는 존재라는 것이다. 이러한 깨달음은 과거 벽을 더듬으며 한 걸음씩 나아가던 모습에서 벗어나, 분명한 목적지를 향해 빠르게 뛰어나가고자 하는 의지로 이어진다. 튼튼한 두 ‘다리’로서 지역사회의 발전에 기여하고자 하는 그의 바람은, 많은 공직자들이 겪는 초심의 흔들림 속에서도 지역사회와 주민을 위한 헌신적인 봉사로 이어질 수 있음을 보여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