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국가정보자원관리원에서 발생한 화재로 인해 행정정보시스템 전반에 걸쳐 심각한 장애가 발생하면서 국민들의 불편이 가중되고 있다. 특히 긴 추석 연휴를 앞두고 119안전신고 서비스와 같이 국민 생활과 직결된 핵심 시스템의 마비는 안전 관리 및 재난 대응에 대한 우려를 증폭시켰다. 또한, 국가의 중요한 기록물 정보를 제공하는 국가기록포털의 접근 불가 사태는 정보 접근성에 대한 근본적인 문제점을 드러냈다. 이러한 상황에서 행정안전부는 중대본 회의를 통해 복구 현황을 점검하고 문제 해결을 위한 다각적인 방안을 논의했다.
행정안전부는 화재 발생으로 인해 중단된 110개 시스템의 복구를 완료하고 서비스를 재개하며 불편 해소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오전 6시 기준으로 복구된 시스템에는 긴 연휴 기간 동안 국민의 안전을 책임질 소방청의 119안전신고 서비스와 국가의 중요 기록물을 열람할 수 있는 국가기록포털이 포함된다. 또한, 국민신문고 서비스 중단으로 야기된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과거에 활용되었던 시·군·구 새올시스템의 온라인 상담 창구를 복원하여 지자체별 온라인 민원 상담 서비스도 다시 제공하기 시작했다.
이번 복구 작업의 신속성을 높이기 위해 정부는 민간 전문가와 연구기관의 인력을 현장에 투입하는 한편, 예비비를 편성하여 복구 속도를 최대한으로 끌어올리고 있다. 행정안전부 장관은 복구 속도를 높이기 위한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대통령실 AI 미래기획 수석과 함께 현장을 직접 방문하기도 했으며,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및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등 전문 연구기관의 참여를 통해 안정성과 재발 방지까지 고려한 근본적인 대책 마련에 나서고 있다. 이와 더불어 시스템 중단으로 인한 행정 공백을 최소화하기 위해, 시스템이 정상화될 때까지 기관별 업무 연속성 계획에 따라 가능한 대체 수단을 적극적으로 제공하고 미흡한 사항은 보완해 나갈 계획이다.
정부는 이번 국가 정보관리 시스템의 장애를 계기로 삼아, 범정부 차원에서 주요 정보시스템과 운영시설에 대한 전수 점검을 실시하고 국가 정보관리 시스템을 근본적으로 재설계하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추석 연휴 기간에도 행정 서비스가 중단되지 않도록 복구 현황을 실시간으로 공개하고 대체 서비스를 마련하는 등 국민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한 최선의 노력을 기울일 것으로 기대된다. 이를 통해 국민들은 핵심 행정 서비스를 안정적으로 이용하고 안전과 관련된 정보에 신속하게 접근할 수 있게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