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 거주 시절, 낯선 한국에 대한 외국 친구들의 호기심을 자극하며 한국 문화를 알렸던 경험은 이제 특별한 일이 아니다. 한류 열풍과 K-문화의 확산으로 한국은 세계인의 관심사로 떠올랐고, 이러한 흐름 속에서 정부 간 외교를 넘어선 ‘공공외교’의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다. 공공외교는 문화와 예술을 통해 국민이 신뢰와 호감을 쌓는 외교를 의미하며, 이러한 공공외교를 국민이 직접 체험하고 참여할 수 있는 장이 바로 ‘공공외교주간’이다. 올해 9월 8일부터 27일까지 개최되는 ‘제7회 공공외교주간’은 한국국제교류재단(KF) 글로벌 센터, 각국 대사관, 서울광장 등 다양한 장소에서 열리며, 워크숍, 포럼, 전시, 공연 등 풍성한 프로그램을 통해 국민들이 직접 우리나라의 공공외교 현장과 문화를 접할 기회를 제공한다. 이는 서로의 나라를 더 깊이 이해하고 국제사회 협력에 필요한 호감과 신뢰를 구축하는 중요한 발판이 될 것이다.
이러한 공공외교의 현장을 직접 경험하기 위해, ‘제7회 공공외교주간’에서 필자는 딸과 함께 ‘콜롬비아 스페셜티 커피의 놀라운 세계’ 워크숍에 참여했다. 지구 반대편에 위치한 한국과 콜롬비아는 멀리 떨어져 있지만, 커피라는 매개체를 통해 서로의 문화를 공유하고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다는 점은 매우 흥미로웠다. 워크숍은 알레한드로 주한 콜롬비아 대사의 설명으로 시작되었다. 그는 콜롬비아 커피의 역사와 3개의 산맥에서 화산재로 비옥해진 땅에서 연중 재배되는 커피의 우수성을 강조했다. 손으로 수확하고 100% 아라비카 원두를 사용하여 부드러운 맛을 내는 콜롬비아 커피는, ‘파넬라’라고 불리는 콜롬비아 설탕과 함께 즐기는 독특한 방식도 소개되었다. 또한, 커피가 가정집에서 즐기는 음료에서 시작해 1·2차 세계대전을 거치며 수요가 급증했고, 현재는 커피 재배 경관이 유네스코 문화유산으로 등재될 만큼 커피 관광 산업으로도 각광받고 있음을 설명했다.
이어서 콜롬비아 커피 전문가인 강병문 씨는 워시드 방식과 내추럴 방식 등 커피 제조 과정을 직접 시연하며 워크숍 참가자들의 이해를 도왔다. 비가 많이 오는 콜롬비아의 기후 특성상, 수확 시기에 발효와 부패의 위험을 줄이기 위해 워시드 방식을 주로 사용한다고 설명했다. 필자는 커피에 대해 어느 정도 안다고 생각했지만, 이번 워크숍을 통해 새로운 사실들을 많이 알게 되었다. 직접 시음해본 두 종류의 콜롬비아 커피는 각각 다른 풍미를 지니고 있었으며, 참가자들은 저마다 선호하는 커피에 대해 이야기하며 같은 커피라도 취향이 다를 수 있다는 점에 흥미를 느꼈다.
커피 이야기와 더불어, 콜롬비아가 6·25 전쟁 당시 파병으로 한국을 도왔던 국가이며, 현재는 무비자 협정을 통해 양국 국민들이 서로 자유롭게 왕래할 수 있다는 사실도 공유되었다. 이러한 지리적, 역사적, 문화적 연결고리들은 지구 반대편에 있는 두 나라가 얼마나 긴밀한 관계를 맺고 있는지 보여주었다. 워크숍은 콜롬비아 전통 모자를 쓰고 찍은 단체 사진으로 마무리되었으며, 이는 이제 물리적인 거리감이 문화 교류에 큰 장애가 되지 않음을 확신시켜 주었다.
한편, 지난 8월 29일 외교부는 내년도 예산안에서 국민 참여형 공공외교 사업을 확대하고 신기술 활용 디지털 공공외교를 강화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 올해 한국에서 개최되거나 예정된 다양한 국제 행사들과 한 달여 뒤 열릴 APEC 회의 개최국으로서, 민간 차원의 외교 활동, 즉 공공외교의 중요성은 그 어느 때보다 강조되고 있다. ‘공공외교주간’은 이러한 시대적 요구에 부응하여, 국민들이 공공외교의 진정한 의미를 깨닫고 스스로 ‘공공외교의 주인공’임을 인식하는 계기를 제공한다. 필자는 오는 26일 열릴 스페인 행사에도 아들과 함께 참석할 예정이며, ‘공공외교주간’을 통해 펼쳐지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 국민 모두가 세계와의 끈끈한 연결고리를 만들어가는 데 적극 참여하길 바란다. 외교는 더 이상 정부만의 영역이 아니며, 국민의 지지와 참여 없이는 지속 가능한 외교가 불가능하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