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강 작가의 노벨문학상 수상 이후 높아진 우리 문학에 대한 관심 속에서, 문학이 단순한 지적 유희를 넘어 사회적 연대와 정서적 치유의 가치를 확산해야 한다는 과제가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올해 처음으로 열린 ‘2025 대한민국 문학축제’는 이러한 시대적 요구에 부응하기 위한 노력을 담고 있다. 이 축제는 ‘서울국제작가축제’, ‘문학주간’, 국립한국문학관 특별전, ‘문학나눔’ 사업 등 기존의 국내 대표 문학 행사들을 하나로 묶어 전국 곳곳에서 다채로운 프로그램으로 시민들과 만나고 있다.
이번 문학축제의 일환으로 진행된 ‘문학주간 2025’의 주제 스테이지 <읽고 만나고 쓰는 마음>은 문학이 우리 삶의 균열을 비추고 서로의 삶에 닿을 수 있는 ‘도움―닿기’의 역할을 하기를 바라는 깊은 메시지를 담고 있었다. 참가자들은 이 축제를 통해 달리는 시간 속에서 잠시 멈추어 숨을 고르고, 다른 이의 삶에 기대어 함께 도약할 수 있는 시간을 마련하려는 의도를 엿볼 수 있었다. 특히 강연에서 제시된 ‘글쓰기에 필요한 태도’에 관한 작가들의 경험담은 글쓰기가 곧 자기 고백이자 용기이며, ‘예술가가 아닌 전달자’라는 위치에서 글을 쓰는 것이 부담을 덜어주는 현실적인 충고로 다가왔다. 이러한 조언들은 글을 쓰는 사람뿐만 아니라 읽는 독자에게도 깊은 울림을 주었다.
아쉽게도 야외 프로그램은 비로 인해 일부 취소되었지만, 포켓 실크스크린 책갈피 만들기 체험과 같이 직접 참여할 수 있는 활동들은 참여자들에게 오래 기억될 만한 소중한 경험을 선사했다. ‘2025 대한민국 문학축제’는 첫 회라는 상징성뿐만 아니라, 전국 각지의 도서관, 서점, 문학관에서 전시, 공연, 체험 프로그램, 작가 초청 행사, 토크와 낭독 무대, 독서대전 등 시민들이 생활 속에서 문학을 즐길 수 있도록 마련된 점에서도 큰 의미를 지닌다.
이러한 문학 축제의 흐름 속에서, ‘2025 책 읽는 대한민국’ 사업 또한 ‘대한민국 문학축제’를 계기로 9월 말 북토크, 공연, 전시 등 다채로운 프로그램을 선보이며 독서 문화 확산에 기여하고 있다. 문학은 단순히 책장 속에 머무르는 것이 아니라, 우리가 읽고 만나고 쓰며 함께 즐길 때 비로소 더 큰 힘을 발휘한다는 것을 이 축제는 분명히 보여주고 있다. 이번 축제가 더 많은 시민이 가까운 도서관과 문학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책 읽는 즐거움 속에서 서로의 삶을 나누는 기회가 되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