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년 9월 7일은 곤충의 날이다. 2019년에 제정된 이 날은 곤충이 우리 생태계에 미치는 지대한 가치와 중요성을 알리고, 혐오감으로 치부되기 쉬운 곤충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확산시키기 위해 지정되었다. 그러나 최근 곤충은 단순한 생물로서의 가치를 넘어, 급변하는 기후 환경 속에서 생존 자체에 위협을 받고 있으며, 이는 곧 우리 생태계 전체와 인류의 미래에 대한 경고로 해석되고 있다. 국립과천과학관에서 9월 2일부터 10월 26일까지 진행되는 기획전 ‘잠자리를 따라가면 보이는 것들’은 바로 이러한 곤충의 변화를 통해 기후변화의 심각성과 탄소중립의 중요성을 되새기게 하는 전시이다.
이 전시가 나오게 된 배경에는 곤충의 생존을 직접적으로 위협하는 기후변화라는 심각한 문제가 자리하고 있다. 곤충은 물과 토양을 정화하고, 꽃가루를 옮겨 식물의 열매 결실을 돕는 등 생태계 유지에 필수적인 역할을 수행하며, 또한 미래 식량 자원과 산업 소재로서의 잠재력 또한 크다. 약 4억 년 전부터 단단한 외골격과 탈바꿈이라는 놀라운 적응 전략으로 지구상에서 가장 다양한 생물군으로 진화해 온 곤충이지만, 현재 직면한 기후변화 앞에서는 속수무책인 경우가 많다. 기온 상승으로 인해 서식지를 잃거나 이동하면서 개체 수가 급감하는 종들이 속출하고 있으며, 이는 곤충의 모습을 통해 인류에게 던지는 직접적인 경고로 해석될 수 있다.
전시에서는 곤충의 변화를 기후변화 생물지표종 8종을 통해 구체적으로 보여준다. 먹그림나비, 푸른큰수리팔랑나비, 무늬박이제비나비, 푸른아시아실잠자리는 더 따뜻한 지역을 찾아 북상하며 서식지를 옮겼다. 말매미와 넓적배사마귀는 오히려 기후변화에 빠르게 적응하며 서식지를 확장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하지만 큰그물강도래와 철써기처럼 기온 상승에 적응하지 못하고 생존 위기를 겪는 종들도 존재한다. 특히 한국 고유종인 한국꼬마잠자리는 수온 상승으로 인해 유충의 생존율이 감소하며 멸종 위기에 놓였으며, 한국꼬마잠자리가 한반도에서 사라진다면 전 세계에서도 완전히 사라지게 되므로 그 심각성이 더욱 크다. 붉은점모시나비 역시 먹이 식물이 줄어들면서 한반도에서 사라질 위기에 처하는 등, 멸종위기종에게는 기후변화가 더욱 치명적인 문제로 작용하고 있다.
이러한 곤충에게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기후변화의 근본적인 원인은 바로 온실가스 배출이다. 온실가스는 쉽게 사라지지 않고 지구의 온도를 지속적으로 상승시키며, 이는 해수 온도와 해수면 상승으로까지 이어진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인류는 온실가스 배출량을 최소화하여 0으로 만드는 ‘탄소중립’을 목표로 하고 있다. 전시는 관람객들에게 온실가스 배출을 줄이기 위한 구체적인 실천 방안을 제시하며 마무리된다. 대중교통 이용, 다회용품 사용, 대기전력 차단 등 일상 속에서 누구나 쉽게 실천할 수 있는 기후 행동을 통해 탄소중립을 실천하는 것이 중요하다.
기자는 이번 전시를 통해 곤충의 변화가 단순히 생태계의 문제를 넘어 인간에게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기후변화 위기의 심각성을 다시 한번 확인했다. 우리가 지켜야 할 지구의 미래를 다시금 떠올리고, 일상 속에서 탄소중립을 실천하는 것이 우리 모두의 책임임을 강조하며, 이 전시는 10월 26일까지 이어지니 관심 있는 가정의 방문을 권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