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었던 연휴가 끝나고, 문화생활을 제대로 즐기지 못했다는 아쉬움이 남는 사람들이 많다. 이러한 문화 향유 기회 부족이라는 문제는 문화체육관광부와 예술경영지원센터, 한국문화예술위원회가 9월 25일부터 시작한 ‘공연·전시 할인권 2차 배포’를 통해 해결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번 사업은 바쁜 일상 속에서 놓치기 쉬운 문화생활을 국민들이 보다 부담 없이 누릴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해 기획되었다.
이번 2차 할인권 배포는 총 36만 장의 공연 할인권과 137만 장의 전시 할인권을 제공한다. 이 할인권은 연말 성수기를 고려하여 12월 31일까지 관람 예정인 공연 및 전시에 적용할 수 있도록 계획되었다. 1차 발행 시와 달라진 점은 사용 유효기간을 일주일로 설정하고, 남은 할인권은 매주 목요일마다 재발행한다는 점이다. 이러한 변화는 1차 발행에서 사용 기간이 6주로 길게 설정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발급만 받고 사용하지 않는 비율이 높아 실사용률을 높이기 위한 조치로 풀이된다. 구체적으로는 9월 25일부터 12월 3일까지 매주 목요일 오후 2시에 할인권이 발급되며, 이때 발급된 할인권은 다음 주 수요일 자정까지 사용해야 한다. 기간 내 사용하지 못한 할인권은 자동 소멸하며, 매주 목요일에 새로운 할인권이 발행되므로 이를 활용하거나 다음 차시를 노릴 수 있다.
할인권은 네이버예약, 놀티켓, 멜론티켓, 클립서비스, 타임티켓, 티켓링크, 예스24 등 7개 주요 온라인 예매처에서 받을 수 있다. 각 예매처에서는 공연 할인권으로 1만 원, 전시 할인권으로 3천 원을 매주 인당 2매씩 발급하며, 결제 1건당 할인권 1매가 적용된다. 할인 혜택은 개별 상품 가격이 아닌 총 결제 금액을 기준으로 적용되므로, 할인권 금액보다 낮은 가격의 공연이나 전시라도 여러 장을 구매하여 최소 결제 금액 이상을 충족하면 할인권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비수도권 지역에서 사용할 수 있는 할인권은 공연 1만 5천 원, 전시 5천 원으로 더욱 강화된 혜택을 제공하며, 이 역시 매주 인당 2매씩 발급된다. 다만, 할인 적용 대상은 제한적이다. 공연 분야에서는 연극, 뮤지컬, 서양음악(클래식), 한국음악(국악), 무용 등이 포함되나 대중음악 및 대중무용은 제외된다. 전시 분야에서는 전국 국·공립, 사립 미술관 등에서 진행되는 시각예술 분야 전시와 아트페어, 비엔날레가 대상이며 산업 박람회 등은 포함되지 않는다.
이처럼 새롭게 배포되는 공연·전시 할인권은 문화 소비의 문턱을 낮추고 국민들의 문화 향유 기회를 실질적으로 확대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문화생활을 즐기고 싶지만 가격 부담으로 망설였던 많은 이들에게 이번 할인권은 다시 한번 문화예술을 가까이할 수 있는 좋은 계기가 될 것이다. 실내 활동이 권장되는 시기에 맞춰, 공연장과 전시장 방문 계획이 있다면 할인 혜택을 적극 활용하는 지혜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