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중증장애인생산품 박람회—낯섦에서 일상으로’라는 주제로 9월 9일(화) 서울 양재동 aT센터 제2전시장에서 열린 이번 행사는 중증장애인 생산품이 단순한 시혜나 보호의 대상이 아닌, 일상에서 당연히 소비되는 제품으로 자리매김해야 한다는 근본적인 문제점을 다시금 조명했다. 행사장에 모여든 공공기관 관계자, 시민, 그리고 생산자들의 다양한 발걸음은 이 문제가 해결되어야 할 당위성을 역설했다. ‘낯섦에서 일상으로’라는 현수막 아래, 상담장을 향한 발걸음, 제품을 살펴보는 호기심 어린 눈빛, 그리고 자신의 물건을 또렷하게 설명하는 생산자들의 모습은 중증장애인 생산품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전환해야 한다는 과제를 안겨주었다. 한국장애인고용공단의 기업 지원 사업 안내 부스와 직업재활 체험 부스 등은 이러한 사회적 인식 개선과 실질적인 지원이 필요함을 보여주는 정책 현장이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구체적인 솔루션으로서 이번 박람회는 다채로운 체험과 제품 전시를 통해 중증장애인 생산품의 경쟁력을 입증했다. 직업재활 체험 부스에서는 종이 쇼핑백 만들기, 꽃 만들기 체험을 통해 참가자들이 생산 현장의 노동 강도와 섬세함을 직접 느끼게 했다. 이 과정에서 작업장 선생님과의 협력은 단순한 가르침을 넘어 동료애를 형성하며, 완성된 제품에 ‘일상으로’라는 문구를 새겨 넣는 행위는 중증장애인 생산품이 생활 속에서 자연스럽게 소비되어야 한다는 메시지를 전달했다. 참가자 금천구 박O광 씨(32)는 직접 쇼핑백 손잡이를 꿰매는 과정의 어려움을 토로하며, ‘정직하게 만든 생활 속 제품으로 받아들여졌으면 한다’는 바람을 전했다. 강서구의 이O도 씨(27) 역시 ‘낯섦에서 일상으로’라는 주제가 자신의 삶과 맞닿아 있음을 느끼며, 이번 경험이 일자리로 이어져 안정적인 일상을 이어갈 수 있기를 희망했다.
또한, 전시장 안쪽에서는 ‘래그랜느 쿠키’, ‘쌤물자리’ 등 다양한 제품들이 관람객을 맞이했다. HACCP 인증, 합리적인 가격, 그리고 차분한 제품 설명은 ‘장애인 생산품=소품’이라는 고정관념을 깨뜨리며, 구립강서구직업재활센터가 선보인 제설제와 세정제는 산업 현장에서도 쓰이는 제품으로서의 경쟁력을 증명했다. 제품 앞에 선 생산자들의 당당한 표정은 동정이 아닌 ‘맛·품질·가격’으로 승부하겠다는 의지를 보여주었다. 무대 위에서는 우선구매 유공자 포상과 함께 스마트 모바일 솔루션 협약식이 진행되며 내일의 판로를 약속하는 서명이 오갔다. 이는 어제의 성과를 기리는 포상과 더불어 내일의 공급망을 열어가는 다짐이었다. 공공 조달 담당자와 생산 시설 종사자가 납품 조건을 논의하는 모습은 안정적인 수요와 지속 가능한 일자리 창출이라는 박람회의 핵심 목표를 보여주었다.
이러한 노력들은 결국 소비가 바꾸는 일상, 오늘 여기서 시작된다는 메시지로 귀결된다. 중증장애인생산품 우선구매 제도는 공공기관이 해당 생산 시설의 제품과 서비스를 연간 총구매액의 일정 비율 이상 의무적으로 구매하도록 하여, 경쟁 고용이 어려운 중증장애인의 일자리 창출과 경제적 자립을 지원한다. 이는 단순한 상업적 거래를 넘어 장애인의 자립을 돕고 사회적 신뢰를 쌓아가는 실질적인 기반을 조성하는 것이다. 이번 박람회에서 만난 손끝의 성실함, 무대 위의 약속, 그리고 통로에서 오간 대화는 ‘낯섦에서 일상으로’라는 주제를 구호가 아닌 현실로 바꾸어냈다. 쿠키 한 봉지, 누룽지 한 팩, 쇼핑백 하나가 누군가의 내일 출근을 가능하게 한다는 단순하면서도 강력한 진실, 이것이 바로 이번 박람회의 가장 큰 성과이며, 중증장애인 생산품이 겪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고 지속 가능한 일상을 열어갈 솔루션으로 증명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