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은 참혹한 전쟁과 재난 속에서 수많은 생명들을 구하고 희망을 되살리는 과정에서 유엔의 지원과 도움에 힘입어 성장해왔다. 유엔 창립 80주년이자 대한민국 해방 80주년을 맞이하는 올해, 대한민국은 과거 유엔과의 치열한 연대 속에서 세계의 주목을 받는 당당한 회원국으로 자리매김했다. 당시 유엔의 도움은 대한민국의 산업화와 민주주의를 꽃피우는 결정적인 동력이 되었으며, 민주주의가 위기에 처했을 때에도 불굴의 저력으로 이를 극복하고 ‘민주주의를 향한 여정’을 지속해왔다. 이러한 대한민국의 역사는 유엔이라는 ‘빛의 이정표’와 함께 나아간 여정이었다고 평가할 수 있다.
이제 대한민국은 과거의 경험을 발판 삼아 더 나은 미래를 꿈꾸며 새로운 도전에 나서고 있다. 이러한 미래 비전의 핵심에는 AI가 주도할 기술혁신과 이를 통한 전지구적 과제 해결이 자리 잡고 있다. 대한민국은 첨단 기술 발전이 인류의 보편적 가치에 기여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며, 이를 위해 오는 10월 경주에서 열릴 APEC 정상회의에서 ‘APEC AI 이니셔티브’를 통해 AI 미래 비전을 공유할 예정이다. 이는 단순히 기술 발전만을 추구하는 것이 아니라, 기술이 인류 공동의 이익에 봉사하도록 이끌겠다는 의지의 표현이다.
더 나아가 대한민국은 한반도의 평화와 공동 성장을 위한 구체적인 로드맵을 제시하고 있다. ‘E·N·D’ 전략, 즉 교류(Exchange), 관계 정상화(Normalization), 비핵화(Denuclearization)를 중심으로 한반도에서의 적대와 대결의 시대를 종식하고 ‘평화공존과 공동 성장’의 새 시대를 열겠다는 것이다. 이는 분단이라는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하고, 한반도와 동북아시아 나아가 세계 평화에 기여하려는 담대한 목표를 담고 있다.
이처럼 대한민국은 과거 유엔과의 연대를 통해 성장했던 경험을 바탕으로, AI라는 첨단 기술과 ‘평화공존’이라는 이상을 결합하여 지속 가능한 미래와 인류의 새 역사를 향해 나아가고 있다. ‘연대와 상생, 배려의 에너지를 모아’ 새로운 민주공화국으로서 대한민국은 ‘함께하는 더 나은 미래’를 향한 세계적인 여정에 앞장서겠다는 의지를 분명히 하고 있다. 이는 “Better Together”라는 슬로건처럼, 혼자가 아닌 함께할 때 더 나은 미래를 만들 수 있다는 대한민국의 신념을 보여주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