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년 명절이면 온 가족이 모여 풍성한 음식을 나누는 따뜻한 풍경이 펼쳐진다. 하지만 이 풍경 뒤편에는 명절 기간 동안 급증하는 음식물 쓰레기라는 그림자가 드리워져 있다. 평소보다 넉넉하게 음식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발생하는 음식물 낭비는 심각한 환경 문제와 막대한 경제적 손실로 이어진다. 이러한 문제의식 속에서 한국환경공단은 추석 연휴를 맞아 음식물 쓰레기 감량을 위한 ‘추석 명절 음식물 쓱싹 줄이기’ 캠페인을 10월 1일부터 14일까지 2주간 실시하며, 낭비 없는 음식 문화 정착을 위한 적극적인 해결책을 제시하고 있다.
이번 캠페인은 명절이라는 특수한 시기에 음식물 쓰레기 발생량을 의식적으로 줄이고자 하는 시민들의 참여를 독려하는 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특히, 무선인식(RFID) 종량제 후불제를 사용하는 세대를 대상으로 하며, 행사 포스터에 첨부된 큐알 코드를 통해 무선인식 태그 인쇄 번호를 입력하면 누구나 쉽게 신청할 수 있다. 이는 환경 보호와 음식물 낭비 감소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는 일석이조의 효과를 기대하게 한다. 한국환경공단에 따르면, 2023년 기준 하루 1만 4천 톤, 전체 쓰레기의 28.7%에 달하는 음식물 쓰레기가 발생하며, 이는 연간 20조 원 이상의 경제적 손실로 이어진다고 하니, 지금부터라도 불필요한 음식물 쓰레기를 줄이려는 노력이 절실한 상황이다.
이 캠페인은 구체적으로 무선인식 음식물 쓰레기 관리시스템을 활용한다. 10월 1일부터 14일까지 세대별 음식물 쓰레기 배출량을 분석한 후, 평상시 배출량과 비교하여 감량한 세대 중 50세대를 추첨해 10월 30일에 모바일 상품권을 지급할 예정이다. 이 시스템은 RFID 태그가 부착된 전용 기기를 통해 버려지는 음식물 쓰레기의 무게를 측정하고, 그 무게만큼의 수수료를 부과하는 방식으로 운영된다. 과거 일반 종량제 봉투를 사용했을 때와 달리, 배출량에 따른 직접적인 비용 부과는 시민들이 음식물 쓰레기를 줄이려는 노력을 의식적으로 기울이게 만드는 강력한 동기 부여가 된다. 실제 캠페인 참여자 중에는 추석 연휴에도 불구하고 평소보다 160원에서 120원으로 음식물 쓰레기 배출 수수료를 절감한 사례도 있어, 환경 보호와 경제적 이익을 동시에 실현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실제로 지난 3년간 명절 연휴 동안 이와 유사한 캠페인을 통해 6,200톤에 달하는 음식물 쓰레기를 감량한 경험이 있기에, 이번 캠페인 역시 상당한 감량 효과를 거둘 것으로 기대된다.
한국환경공단은 캠페인 참여 외에도 생활 속에서 실천할 수 있는 음식물 쓰레기 줄이기 방법을 제시한다. 첫째, 장을 보기 전 미리 구매 목록을 작성하고 냉장고 속 재고를 확인하여 불필요한 충동구매를 최소화하는 것이다. 둘째, 남은 음식은 볶음밥이나 샐러드 등 다양한 요리로 재활용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줄이는 동시에 건강한 집밥 문화를 장려하는 것이다. 이처럼 사소해 보이는 습관들이 모이고 모인다면 음식물 쓰레기 배출량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으며, 이는 추석 기간뿐만 아니라 일상생활에서도 지속적으로 이어져야 할 중요한 과제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