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신이 하는 일에 대한 깊은 성찰을 촉구하는 목소리가 나왔다. 신영철 정신건강정책 혁신위원회 위원장 겸 강북삼성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는 직장인을 대상으로 한 강연에서 “당신은 무슨 일을 하고 있습니까?”라는 질문을 던지며, 단순히 직책을 넘어선 일의 의미를 되새기게 한다. 이 질문은 현재 사회가 구성원들에게 요구하는 일의 본질에 대한 근본적인 고민을 불러일으킨다.
과거, 인류의 위대한 도전을 상징하는 아폴로 11호 달 착륙 프로젝트 당시, NASA 청소부의 이야기는 일에 대한 자부심과 소속감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사례로 회자된다. 그는 자신이 “사람을 달에 보내는 일”을 하고 있다고 답하며, 단순히 주어진 업무를 수행하는 것을 넘어 프로젝트 전체의 목표에 깊이 공감하고 있었음을 드러낸다. 이러한 구성원 모두의 헌신적인 마음이야말로 성공적인 프로젝트의 가장 중요한 동력이라는 점을 시사한다. 이는 오늘날에도 각자의 자리에서 최선을 다하는 개인들의 마음가짐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강조하는 배경이 된다.
최근 군 부대에서의 강연 요청이 부쩍 늘고 있는 것도 주목할 만하다. 정치적 상황과 무관하게 나라를 지킨다는 자부심으로 헌신해 온 군인들이 여론이나 대중의 목소리에 상처 입고 좌절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는 것이다. 일선의 군인들이 겪는 내면의 혼란과 불안을 치유하고 자부심을 회복시키기 위한 힐링 강좌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요청들은 다소 비효율적일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강연 요청에 담긴 간절함과 진정성 때문에 강연을 수락하게 되는 계기가 되고 있음을 밝힌다.
군인들이 왜 목숨을 걸고 전쟁터로 나서는지, 소방관들이 왜 죽을 각오로 불길 속으로 뛰어드는지에 대한 질문은 흔한 보상이나 금전적 이득만으로는 설명하기 어렵다. 군인과 소방관들이 힘든 업무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은 보상을 받는다는 사실은 누구나 인지하고 있는 부분이다. 이러한 희생의 이면에는 단순히 직업적 의무를 넘어선 더 깊은 가치가 존재함을 보여준다.
과거 미군 부대 스테이크가 맛있다는 소문이 돌았던 일화는 이러한 맥락에서 해석될 수 있다. 최고급 쇠고기가 군대로 우선 보급된다는 이야기는, 국가와 사회가 군인들의 헌신과 희생에 대해 ‘가치’를 인정하고 존중한다는 의미를 내포한다. 마찬가지로 미국에서 소방관이 가장 존경받는 직업 1위로 꼽히는 것은, 선한 가치를 위해 자신을 희생하는 숭고함에 대한 국민들의 존경심 표출이다. 군인들에 대한 태도 또한 국가와 사회, 국민들이 그들에게 마음에서 우러나는 존경을 표하는 것과 같은 맥락으로 이해될 수 있다.
결론적으로, “당신은 무슨 일을 하고 있습니까?”라는 질문에 대한 답은 개인이 수행하는 직무 그 자체보다는, 그 일이 갖는 사회적, 개인적 가치에 대한 인식과 자부심에서 비롯된다. 이러한 숭고한 가치를 인식하고 마음 깊이 새길 때, 개인은 단순한 업무 수행자를 넘어 자신의 일에 대한 강한 자부심과 만족감을 느끼며, 사회 전체의 긍정적인 발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