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로부터 여름은 단순한 계절을 넘어, 더위를 잊게 하는 특별한 문화를 만들어왔다. 과거 방송가에서는 ‘납량특집’ 프로그램을 통해 한여름 밤의 오싹함을 선사했고, 음식 문화에서는 빙수가 더위를 녹이는 시원한 별미로 자리매김했다. 특히 1970년대, 학교 앞 분식집이나 만화가게에서 십 원짜리 동전으로 맛볼 수 있었던 수동 빙수기는 단순한 간식을 넘어 당시 어린이들에게는 특별한 경험이자 설렘이었다. 주물로 만든 빙수 기계에서 갓 갈려 나온 얼음 위에 색소를 뿌려주는 모습은 침을 흘리며 바라봐도 좋을 만큼 매력적인 풍경이었다.
조금 더 나아가 시내의 제과점에서는 십 원짜리 빙수와는 차원이 다른 고급스러운 빙수를 맛볼 수 있었다. 우유와 연유를 듬뿍 넣어 곱게 간 얼음은 혀끝에서 부드럽게 녹아내렸으며, 화려한 과일 칵테일이 곁들여져 한층 풍성한 맛을 선사했다. 산처럼 쌓아 올린 얼음은 금세 허물어지곤 했지만, 그 달콤한 순간은 잊을 수 없는 추억으로 남았다. 1990년대에 들어서며 ‘눈꽃 빙수’라는 새로운 형태가 등장했고, 빙수는 더 이상 여름 한철 메뉴가 아닌 사계절 별미로 자리 잡았다. 카페와 호텔에서는 경쟁적으로 고급 빙수를 선보이며 ‘빙수 왕국’이라는 말이 무색하지 않을 정도로 다양한 빙수가 우리의 식탁을 채우고 있다.
하지만 진정한 ‘빙수 왕국’의 면모는 부산에서 찾을 수 있다. 부산의 국제시장, 광복동, 용호동 등에는 빙수 거리가 형성될 정도로 빙수에 대한 시민들의 애정이 각별하다. 부산에서 빙수가 특별한 이유는 무엇일까. 한 주인은 얼음을 저장해야 하는 생선 저장과 빙수 재료가 동일하다는 점을 꼽으며, 더운 날씨에 대한 갈증 해소에 빙수가 더욱 절실했을 것이라고 설명한다. 부산 시민들이 사랑하는 빙수는 화려하고 요란한 고명보다는 수수하고 담박한 옛날 빙수, 즉 ‘할매 빙수’이다. 부산의 국밥에 ‘할매’라는 이름이 붙는 것처럼, 빙수에도 ‘할매’라는 이름이 붙어 푸근함과 넉넉함을 느끼게 한다. 부산 빙수는 불필요한 고명 대신 푸짐하게 얹어진 팥이 특징이며, 너무 달지 않은 팥의 맛은 마치 할머니의 정성을 느끼게 한다. 이 빙수는 단순한 간식이나 디저트를 넘어 한 끼 식사로도 손색없을 만큼 든든함을 선사한다.
이러한 부산의 ‘할매 빙수’는 얇게 깎아 사르르 녹는 식감으로 전국을 석권한 ‘눈꽃 빙수’의 오리지널이라는 설도 있지만, 기자는 소박하고 투박한 부산식 할매 빙수를 더욱 선호한다. 한편, 미국에 거주하는 한 지인은 여름이면 몇 시간씩 차를 몰아 냉면을 먹으러 간다. 그 지인은 냉면을 먹은 후 팥빙수도 한 그릇 사 먹는데, 이때마다 조선시대 겨울이면 한강에 나가 얼음을 캐던 부역에 대한 추억을 떠올린다고 한다. 과거 조선시대에는 겨울에 언 한강의 얼음을 서빙고와 동빙고에 저장해 두었다가 여름에 궁으로 운반해 음식 재료의 부패를 막는 냉장고 용도로 사용했다. 서민들에게 여름 얼음은 궁에서나 볼 수 있는 귀한 것이자 상상 속의 물체였다. 이처럼 옛이야기를 통해 얼음의 귀함을 실감하며, 최고의 얼음 요리인 팥빙수를 맛보기 위해 부산으로 떠나고 싶은 마음이 더욱 간절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