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 장생포는 과거 고래 산업의 중심지였지만, 이제는 그 흔적이 문화와 기억으로 재탄생하고 있다. 그러나 장생포의 고래고기 식당은 단순히 음식을 제공하는 곳을 넘어, 과거 산업의 쇠퇴와 생업의 변화를 애도하고 향수를 불러일으키는 특별한 공간으로 기능하고 있다. 사라진 포경선과 노동의 기억이 담긴 고기 한 점은 단순한 식사를 넘어 과거를 회상하고 공동체의 미래를 준비하는 의례가 되고 있다.
장생포는 선사시대부터 고래가 서식하던 깊은 바다였음이 반구대암각화와 여러 유물들을 통해 확인된다. 동해와 남해가 만나는 지리적 이점과 풍부한 먹거리는 장생포를 고래들의 이상적인 서식지로 만들었고, 이는 곧 번성했던 포경 산업의 기반이 되었다. 동해안의 깊은 수심과 낮은 조수차는 대형 선박의 접안을 용이하게 했으며, 장생포는 수심이 깊고 조수차가 적은 지형 덕분에 염전 조성이나 해조류 성장에도 유리했다. 또한, 태화강, 삼호강, 회야강 등에서 유입되는 풍부한 부유물과 플랑크톤은 새우를 비롯한 작은 물고기들의 서식지를 형성했고, 이는 곧 고래들의 풍요로운 먹이가 되었다. 이로 인해 장생포 앞바다는 ‘귀신고래’가 자주 출몰하는 명소가 되었다.
일찍이 장생포는 어업으로 엄청난 부를 축적했던 곳으로, ‘개가 만 원 지폐를 물고 다녔다’는 말이 있을 정도로 경제적 번영을 누렸다. 수출입 선박이 빼곡했고, 6~7층 규모의 냉동 창고가 즐비했다. 1973년 남양냉동과 같은 대규모 냉동 창고가 들어섰다가 경영난으로 문을 닫기도 했지만, 이러한 시설들은 과거 장생포의 산업적 위상을 증명한다.
폐허가 된 냉동 창고는 2016년 울산 남구청이 매입하여 시민들의 의견을 수렴한 끝에 2021년 장생포문화창고로 재탄생했다. 총 6층 규모의 문화창고는 소극장, 녹음실, 연습실 등 지역 문화예술인들의 거점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특별 전시관, 갤러리, 미디어아트 전시관 등을 갖추고 있어 다양한 연령층이 즐길 수 있는 복합 문화 공간으로 자리 잡았다. 특히, 어린이를 위한 ‘에어장생’ 체험 프로그램과 정선, 김홍도, 신윤복 등 한국 대표 화가들의 작품을 미디어 아트로 재해석한 ‘조선의 결, 빛의 화폭에 담기다’ 전시는 방문객들에게 깊은 인상을 남긴다. 또한, 신진 작가들의 작품을 전시하는 갤러리는 수십 년 된 냉동 창고 문을 그대로 활용하는 업사이클링의 좋은 사례를 보여준다.
장생포문화창고에서 특히 주목받는 공간은 ‘울산공업센터 기공식 기념관’이다. 이곳은 울산이 대한민국 산업 발전의 심장부로 자리매김하기까지의 과정을 보여주며, 특히 울산석유화학단지의 성장을 온몸으로 체험했던 기성세대들에게는 깊은 애잔함을 선사한다. 굴뚝 연기로 인한 중금속 중독 질환, 즉 ‘온산병’과 같은 과거의 아픔도 전시를 통해 조명하며, 과거에는 옳았지만 지금에는 틀린 일들에 대한 성찰을 이끌어낸다.
장생포의 고래 산업은 1946년 최초 조선포경주식회사 설립과 함께 시작되었으나, 1986년 국제포경위원회(IWC)의 상업 포경 금지 결정으로 100년도 안 되는 영광의 시대는 막을 내렸다. 그러나 장생포에서는 여전히 고래고기가 명맥을 유지하고 있다. 현재는 대부분 혼획된 밍크고래 등을 합법적으로 유통하고 있지만, 높아진 가격으로 인해 ‘희소성’과 ‘금지의 역설’은 고래고기를 더욱 욕망의 대상으로 만들고 있다. ‘일두백미’라 불리는 소처럼, 고래 한 마리에서도 최소 12가지 이상의 다양한 맛을 즐길 수 있다고 전해진다. 특히, 턱 아래 가슴 부위인 ‘우네’와 배 쪽 기름층과 살코기가 겹겹이 붙은 ‘오배기’와 같은 고급 부위는 고래 특유의 풍미와 식감을 극대화한다.
과거 부모 세대가 부산에서 경험했던 비린 고래고기의 기억은 오해였음을 증명하듯, 장생포의 고래요릿집에서 맛보는 고래고기는 부위별, 조리법별로 다양한 맛과 식감을 선사한다. 쫄깃한 생 조갯살 같은 식감부터 보쌈처럼 부드러운 식감까지, 철판에 구워 먹으면 소고기 못지않은 맛을 자랑한다고 한다.
결론적으로 장생포의 고래요릿집은 단순한 식사 장소를 넘어, 사라진 산업과 생업, 그리고 포경선의 향수를 담아 음미하는 ‘애도와 회상’의 공간이다. 고래로 꿈을 꾸었던 어부들, 고래고기로 단백질을 보충했던 피란민들, 그리고 한강의 기적을 일군 산업 역군들을 기리는 문화적 지층이 바로 이곳 장생포에 존재한다. 비록 장생포의 고래는 사라졌지만, 고래고기는 사라지지 않고 과거의 시간과 도시의 기억을 씹으며 공동체의 내일을 준비하는 중요한 매개체로 남겨져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