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뿐인 아들의 사춘기 시절, 부모로서 겪는 고민은 깊다. 특히 중간고사를 앞둔 민감한 시기의 자녀와의 소통 단절은 많은 부모들의 공통적인 어려움으로 떠오르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문화체육관광부와 영화진흥위원회가 8일부터 영화 관람료 6천 원 할인권 188만 장을 추가 배포하며, 이는 단순한 문화 향유 기회 확대뿐만 아니라, 가정 내 소통 단절 문제 해결의 실마리를 제공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이번 할인권 추가 배포는 민생 회복과 영화산업 활성화를 목표로 지난 7월 25일부터 진행된 450만 장 배포 이후 사용되지 않은 잔여 할인권을 재배포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특히 1차 배포 때 할인 혜택을 받은 사람도 별도의 다운로드 과정 없이 쿠폰함에 1인 2매가 미리 담겨 있어, 기존 회원은 물론 회원 가입 후 다음 날 할인권을 사용할 수 있는 신규 회원까지 혜택을 누릴 수 있다. 대형 멀티플렉스 극장뿐만 아니라 독립·예술영화전용관, 작은영화관, 실버영화관 등 다양한 형태의 영화관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는 점은 개인의 취향에 맞는 영화 선택의 폭을 넓혀준다. 또한, 누리집이나 애플리케이션 이용이 어려운 어르신들을 위해 종합 안내 창구(☎070-4027-0279)도 운영되어 접근성을 높였다.
이러한 할인권 정책은 실제 영화 관객 수 증가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문체부에 따르면 1차 배포 기간 동안 영화관을 찾은 관객 수는 올해 7월 24일까지의 일평균 관객 수 대비 1.8배 증가했으며, 배포 후 3주간의 분석 결과 10명 중 3명이 최근 1년간 극장을 찾지 않았던 신규 또는 기존 고객으로 나타났다. 이는 이전에는 OTT 서비스 등 다른 여가 활동에 밀려 극장 발길이 뜸했던 국민들이 다시금 극장으로 유입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특히, 비싼 가격대의 OTT 구독으로 인해 집에서 영화를 보는 것이 익숙해진 현대 사회에서, 6천 원이라는 할인 혜택은 가족 단위의 영화 관람을 다시 한번 고려하게 만드는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
결론적으로, 6천 원 영화 할인권은 단순히 경제적 부담을 완화하여 영화산업을 활성화하는 것을 넘어, 사춘기 자녀와의 소통에 어려움을 겪는 부모들에게는 함께 시간을 보내고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는 좋은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영화 관람이라는 공동의 경험을 통해 자녀와의 관계를 회복하고, 긍정적인 추억을 쌓을 수 있다면, 이는 단순한 여가 활동 이상의 의미를 지니게 될 것이다. 다만, 할인권은 선착순으로 배포되므로 소진되기 전에 서둘러 이용하는 것이 중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