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우리 사회는 출생아 수는 급감하는 반면, 고령 인구는 빠르게 증가하는 구조적 변화에 직면해 있다. 이러한 변화는 단순히 통계 수치의 변화를 넘어, 세대 간의 관계마저 소원하게 만드는 근본적인 문제로 작용하고 있다. 기존의 정책은 저출생 대응을 위한 아동 돌봄, 청년 주거 지원, 노인 복지 등 각 세대를 개별적으로 지원하는 데 집중되어 왔다. 이로 인해 같은 동네에 거주하더라도 세대 간 교류 기회가 줄어들고, 함께 어울릴 수 있는 공공 공간 또한 감소하는 현상이 심화되고 있다. 이는 결국 사회 전반의 단절과 고립을 야기하는 문제점으로 이어진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안으로 ‘연령통합사회’ 구축이 시급히 제기된다. 연령통합사회는 복잡한 개념이 아니라, 어린이, 청년, 중장년, 노인 등 모든 세대가 하나의 공간에서 자연스럽게 어울리고 서로 교류하며 도움을 주고받을 수 있도록 도시와 지역사회를 재설계하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아이들의 웃음소리가 들리는 공원 옆 벤치에서 어르신이 독서를 즐기고, 지역 마을 카페에서 청년들이 주민들과 함께 일하는 풍경이 일상화되는 사회를 만드는 것이다. 이는 OECD가 제시하는 ‘모든 세대를 위한 도시(Cities for All Ages)’ 정책 방향과 맥을 같이하며, 도시 공간에서 세대 간의 만남과 연결성을 강화하는 것이 핵심이다. 안전한 보행 환경 조성, 세대를 잇는 공동체 공간 마련, 공공 서비스 접근성 강화 등은 이러한 연령통합사회 구현을 위한 구체적인 방안이 될 수 있다.
연령통합사회는 단순히 여러 세대가 한 공간에 거주하는 것을 넘어, 세대 간 경계가 희미해지고 일상에서 자연스럽게 연결되며 공존할 수 있는 사회 환경을 조성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서는 모든 연령층이 이용 가능한 동네 공간, 나이에 상관없이 접근 가능한 교통 및 서비스 시스템, 그리고 세대 간 자연스러운 어울림을 유도하는 커뮤니티 설계가 필수적이다. 더 나아가, 연령통합은 단순히 복지 정책의 일부에 국한되어서는 안 되며, 생활 환경 전반의 설계 및 운영 방식의 근본적인 변화를 요구한다. 예를 들어, 청년 주택과 고령자 주거 시설이 분리되기보다는, 같은 단지 내에서 삶의 리듬을 공유하는 구조로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단순히 같은 공간에 물리적으로 존재하는 것을 넘어, 세대가 서로를 이해하고 도움을 주고받을 수 있는 관계 구조를 형성하고, 이를 지원하는 서비스와 프로그램, 그리고 심리적 거리감을 좁히는 디자인적 요소가 함께 작동해야 진정한 연령통합이 가능하다.
하지만 현재의 주요 정책 방향은 여전히 세대별 지원을 개별적으로 분리하여 접근하는 경향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대통령 선거 공약들 역시 저출생 대응은 보육, 양육비, 주거 지원에, 고령사회 대응은 돌봄과 의료 체계 강화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러한 개별적인 정책 접근 방식은 근본적인 세대 간 단절 문제를 해결하는 데 한계를 보인다. 지금 우리 사회에 절실히 필요한 것은 세대를 분리하여 바라보는 관점에서 벗어나, 모든 세대가 함께 살아가는 방식으로의 전환이다. 이제는 전 생애주기를 아우르고 각 세대를 유기적으로 연결하는 통합적인 정책 틀 마련이 필요하다.
결론적으로, 새로운 정부는 공간과 정책, 서비스 설계 전반에 ‘연령통합’의 원리를 적극적으로 반영해야 한다. 단순히 복지 정책의 확장을 넘어, 세대 간의 관계를 회복하고 긍정적인 연결을 구축하는 도시와 사회를 만들어가는 것이 앞으로 우리 사회가 직면할 중요한 과제가 될 것이다. 누구나 아이였고, 언젠가는 노인이 된다는 당연한 사실을 정책과 도시 설계가 잊지 않고, 나이와 세대를 가르는 경계를 허물며 서로의 삶을 이해하고 존중하는 공간과 관계를 만들어가는 전환의 시간이 바로 지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