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소비 부진에 대한 우려가 지속되는 가운데, 국민들의 카드 소비를 늘려 내수 활성화를 도모하려는 정책적 움직임이 시작되었다. ‘상생페이백’은 이러한 배경 속에서 민생회복 지원사업의 일환으로 추진되는 사업으로, 국민들의 지난해 9월부터 11월까지의 카드 소비액이 이들의 지난해 평균 카드값보다 증가했을 경우, 그 차액의 일부를 디지털 온누리상품권으로 환급해 주는 방식이다. 이는 단순한 지원금을 넘어, 소비 자체를 장려함으로써 경제 선순환 구조를 만들겠다는 의도로 풀이된다.
이번 상생페이백 제도의 핵심은 소비 증가분에 대한 환급이다. 구체적으로, 지난해 9월부터 11월까지의 월 평균 카드 소비액이 지난해 연간 평균 카드 소비액보다 증가한 국민이라면 누구나 혜택을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9월에 카드 소비액이 늘어난 경우, 증가한 금액의 20%를 10월에 최대 10만 원까지 환급받을 수 있으며, 이 혜택은 3개월간 최대 30만 원까지 적용된다. 환급된 금액은 디지털 온누리상품권 형태로 지급되며, 이는 전통시장 및 상점가 등에서 사용 가능하다. 2024년도 체크카드 및 신용카드 사용 실적이 있는 만 19세 이상 국민이라면 누구나 신청할 수 있으며, 환급된 금액은 지급일로부터 5년 간 유효하다.
상생페이백 신청 절차는 간소화되어 있다. 상생페이백 누리집(상생페이백.kr)에 접속하여 본인 인증 절차를 거치면 신청이 완료된다. 다만, 디지털온누리 앱 미가입자는 별도의 앱 설치 및 가입이 필요하다. 신청 기간은 9월 15일(월) 9:00부터 11월 30일(일) 24:00까지이며, 9월 20일(토)부터는 요일제 없이 누구나 신청 가능하다. 소비액 산정 시 제외되는 사용처 목록도 명확히 안내되어 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대형마트 및 백화점, 온라인몰, 명품 전문 매장, 해외사용 등은 소비액에서 제외되므로, 신청 시 이를 유의해야 한다. 따라서 가급적 동네 상권 위주로 현장 결제를 하는 것이 환급 혜택을 극대화하는 방법으로 제시된다.
환급받은 디지털 온누리상품권의 활용처 또한 다양하게 마련되어 있다. 10월 15일(수)부터 순차적으로 지급되는 상품권은 온누리시장 등 온라인 전통시장관에서 식료품, 농산물, 반찬류 등 다양한 품목을 구매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 또한, 11월에는 평소 이용하던 배달앱 ‘땡겨요’에서도 온누리상품권으로 결제가 가능하여, 소상공인을 위한 배달 서비스 활성화에도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식품뿐만 아니라 가전·생활용품 등 실생활에 필요한 제품들도 온누리시장관에서 구매 가능해, 소비자들이 필요에 맞춰 선택의 폭을 넓힐 수 있다.
이번 상생페이백 정책이 성공적으로 안착할 경우, 단순히 개인에게 환급 혜택을 제공하는 것을 넘어 지역 소비 활성화와 소상공인 지원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참여자들이 자신의 소비 패턴을 점검하고 디지털 온누리상품권의 활용 가능성을 새롭게 인지하는 계기가 될 수 있다. 이는 곧 ‘상생’이라는 가치를 실현하며, 건강한 소비와 지역 경제 활성화를 동시에 이루어내는 긍정적인 선순환 구조를 형성할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