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2학기부터 중ᐧ고등학교의 수행평가 방식이 전면 개정된다. 이번 개정은 학생들이 수행평가에 대해 느끼는 과도한 부담을 덜어주고, 진정한 학습 과정 중심 평가로 나아가기 위한 교육부의 결정으로 해석된다. 과거 지필평가만큼 혹은 그 이상으로 학생들에게 부담을 주었던 수행평가가 수업 시간 내에서 이루어지도록 변경됨에 따라, 학생들의 학습 방식에도 변화가 예상된다.
과거 수행평가는 때때로 지필평가보다 더 까다로운 방식으로 운영되어 왔다. 영어 작문이나 미술 만들기 과제와 같이 사교육의 도움을 받아 미리 준비하는 것이 일반적이었고, 이는 공정한 평가라는 본래의 취지를 퇴색시키고 학생들에게 불필요한 사교육 의존도를 높이는 결과를 초래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교육부는 2025년 2학기부터 모든 수행평가를 수업 시간 내에만 실시하도록 하는 방안을 마련했다. 이는 단순히 평가 시점을 변경하는 것을 넘어, 암기식 평가에서 벗어나 과정 중심 평가로의 전환을 의미한다.
이번 제도 개편에 따라 학교는 자체 점검표를 활용하여 평가 계획을 개선하게 된다. 또한 교육청은 매 학기 시작 전에 학교의 평가 계획을 점검하여 외부 요인의 개입 가능성이 높은 과제형 및 암기형 수행평가가 운영되지 않도록 관리할 방침이다. 이러한 변화는 학생들이 과제 수행을 위해 획일적인 결과물을 만들기보다, 수업 시간에 능동적으로 참여하고 자유로운 발상을 토대로 학습하는 환경을 조성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실제로 정책 변화를 경험하고 있는 학생들의 반응은 긍정적이다. 국어 교과에서는 조를 이루어 토론하는 방식의 수행평가가 늘어났으며, 수업 시간 내 주어진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사고하고 이를 논리적인 글로 정리하는 활동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고 한다. 수학 교과 역시 단순한 답 산출을 넘어 문제 해결 과정을 중점적으로 평가하는 방식으로 변화하고 있으며, 학생들이 문제를 탐구하고 질문을 작성하며 과정을 기록하는 포트폴리오식 평가가 도입되고 있다. 이는 과거 제한된 시간 안에 정답을 맞춰야 한다는 압박감 속에서 학습했던 방식과는 차별화된 접근이다.
변화된 수행평가 방식에 효과적으로 대비하기 위해서는 ‘평상시 공부’의 중요성이 강조된다. 멘토링에 참여한 한 고등학생은 1학기 때와 달리 2학기에는 밤샘 공부의 필요성을 느끼지 못한다고 말했다. 평상시 수업에 집중하고 경청하는 태도가 자연스럽게 몸에 배면서, 오히려 집에서 급하게 몰아 공부하는 일이 줄어들었다는 것이다. 이러한 경험은 수행평가의 본래 취지가 학생의 성장 과정을 지켜보고 개별화된 교육을 제공하는 데 있음을 다시 한번 상기시킨다. 2학기부터 시행되는 새로운 수행평가 제도가 암기식 학습의 부담에서 벗어나 학생들이 보다 적극적이고 주도적으로 학습에 임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