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마다 여름철이면 어김없이 발생하는 어린이집 집단 식중독 사고는 학부모들의 불안감을 증폭시키고 있다. 특히 면역력이 약한 영유아를 대상으로 하는 급식 과정에서의 사소한 위생 불량은 심각한 건강 문제로 이어질 수 있어, 이에 대한 선제적이고 철저한 예방 조치가 시급한 상황이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식품의약품안전처(이하 식약처)는 전국 어린이집의 위생관리 실태를 집중 점검하며 집단 식중독 발생 위험을 낮추기 위한 행보에 나섰다.
식약처는 오는 13일부터 31일까지 지방자치단체와 협력하여 전국 어린이집 3800여 곳을 대상으로 위생관리 전반에 대한 집중 점검을 실시한다고 10일 밝혔다. 이는 올해 상반기에 이미 6536곳의 어린이집 집단급식소를 점검한 데 이은 추가 조치로, 이번 점검을 통해 총 1만 300여 곳에 대한 전수 점검을 마무리할 계획이다. 상반기 점검 결과, 식품위생법을 위반한 11개 업체가 적발되어 해당 지자체에 행정처분을 요청한 바 있다. 이번 점검에서는 소비기한이 경과한 제품의 사용 및 보관 여부, 보존식의 올바른 보관 상태, 그리고 식품 취급 및 조리실 등 급식 시설의 전반적인 위생 상태를 중점적으로 살필 예정이다. 더불어, 실제 조리된 식품과 급식 조리 도구에 대해서는 식중독균 오염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수거 검사도 병행한다.
한편, 식약처는 단순 점검을 넘어 식중독 예방 교육 강화에도 힘쓰고 있다. 특히 노로바이러스 식중독 예방과 확산 방지에 초점을 맞춰, 어린이집 관계자들을 대상으로 올바른 손 씻기 방법과 더불어 노로바이러스 환자의 구토물 처리 및 소독 방법에 대한 교육과 홍보를 적극적으로 실시할 예정이다. 이러한 다각적인 노력은 식중독 발생 가능성을 최소화하고, 발생 시 피해를 줄이는 데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식약처는 앞으로도 어린이들이 안심하고 건강하게 식사를 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어린이집 집단급식소에 대한 위생점검과 식중독 예방 교육을 지속적으로 강화해 나갈 방침이다. 이번 집중 점검과 교육을 통해 어린이집 급식 위생 수준이 한층 높아지고, 더 이상 식중독 사고로 인한 안타까운 사례가 발생하지 않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