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37개 문화도시가 한자리에 모인 ‘2025 문화도시 박람회’는 단순히 문화예술 행사를 넘어서, 각 지역이 가진 고유한 문화자원을 활용해 도시의 정체성을 높이고 시민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려는 노력을 보여주었다. 특히 제4차 문화도시로 선정된 대구 달성군과 경북 칠곡군은 지역 특산물 개발, 유휴 공간의 예술 창작 공간 탈바꿈 등 문화도시의 역할을 적극적으로 수행하며 침체된 지역 경제와 문화 활성화를 모색하고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문화도시 사업 추진에도 불구하고, 대구와 칠곡은 ‘특별한 정체성이 없어’ 가까운 대도시나 관광지로 시민들이 발길을 돌리는 문제에 직면해 있다. 대구 달성군의 경우, 제4차 문화도시 선정 이후 2년이 지났지만 지역 주민들 사이에서도 문화도시 사업에 대한 인지도가 낮은 상황이며, 이는 가족이나 친구들 역시 마찬가지였다. 이러한 상황은 박람회 현장에서도 확인되었다. 참석자들은 문화도시 선정 사실을 뒤늦게 인지하고, 지역의 문화적 매력을 인지하지 못하는 안타까움을 토로했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2025 문화도시 박람회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들을 제시했다. 대구 달성군은 문화활동가 양성, 문화교실 운영, 청년축제 ‘위터스플래쉬’ 개최 등 세대별 맞춤 사업을 통해 지속가능한 문화생태계 조성과 시민 주체성 강화에 집중하고 있었다. ‘들락날락 매거진’과 같은 홍보 자료는 타 지역보다 다양한 소재의 사업을 추진하고 있음을 보여주었으며, 청년들의 니즈를 충족시키기 위한 꾸준한 노력도 엿볼 수 있었다. 또한, 방문객을 위한 포춘쿠키 이벤트는 지역에 대한 긍정적인 메시지를 남기도록 유도하며 적극적인 참여를 이끌어냈다.
경북 칠곡군은 인문학에 초점을 맞춘 ‘칠곡로컬팜투어’, ‘우리동네 문화카페’, ‘주민기획 프로그램’, ‘칠곡인문학마을축제’ 등 주민들이 함께 어울려 인문학을 향유할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선보였다. 특히 10월 18일부터 19일까지 개최되는 ‘칠곡 문화거리 페스타’는 주민뿐만 아니라 모든 사람이 참여할 수 있는 축제로, 지역 사회의 활기를 불어넣을 것으로 기대된다. 관계자는 이 축제를 통해 많은 사람들이 칠곡을 방문하고 즐기기를 바란다고 전했다.
포럼 현장에서는 ‘문화로 지속 가능한 지역 발전’을 주제로 밀양, 속초 등 각지에서 활동하는 관계자들의 경험이 공유되었다. 이 자리에서 공통적으로 인구 유출과 감소, 지역 소멸에 대한 깊은 우려가 제기되었다. 대구 역시 청년 유출이 급증하고 있는 지역으로, ‘오래 살기 좋은 도시’, ‘발전하고 있는 도시’라는 이미지를 구축하기 위한 노력이 시급함을 실감하게 했다.
문화도시의 성공적인 미래는 시민들의 작은 관심과 방문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37개 문화도시들은 각자의 카카오 채널, 인스타그램 등을 통해 적극적으로 소식을 공유하며 시민들의 참여를 독려하고 있다. 2027년까지 제4차 문화도시로서 발돋움할 대구 달성군과 칠곡군은 물론, 다양한 문화도시들의 행보는 앞으로도 지속적인 관심과 응원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아버지께서는 태권도 시범 공연, 전통문화 체험, 마당극, 북 공연 등에 대한 기대를, 어머니께서는 역사 중심의 문화 행사와 두 지역이 함께 만드는 프로그램 참여에 대한 바람을 나타냈다. 이러한 가족들의 기대처럼, 지역 주민들의 자부심이 될 문화도시 사업의 지속적인 발전이 지역 소멸 위기 극복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