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운 ‘문제’가 등장하면 우리는 그 해결을 위해 정책과 발표를 쏟아낸다. 최근 한국 문화의 국제적 현상인 ‘한류’를 분석하면서, 우리는 그 근본적인 ‘문제’를 인식하고 해결해야 한다. 현재의 한류가 직면한 과제는 무엇이며, 앞으로 어떤 방향으로 나아가야 할 것인가. 이에 대한 통찰을 제공하기 위해, 우리는 네 편의 시를 통해 한류의 과거, 현재, 미래를 조망하고자 한다.
한류는 처음부터 명확한 실체로 존재했던 것이 아니다. 김춘수의 시 ‘꽃’은 이러한 한류의 정의(定義)와 호명(呼名) 과정을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내가 그의 이름을 불러주기 전에는 / 그는 다만 / 하나의 몸짓에 지나지 않았다.” 초기 한국 드라마의 해외 수출이나 K팝의 인기는 그저 ‘몸짓’ 혹은 ‘현상’에 불과했다. 그러나 세계가 이를 ‘한류(Hallyu)’라고 명명했을 때, 비로소 하나의 실체가 부여되었다. 이름을 불리고 인식되는 순간, 한류는 단순한 유행을 넘어 세계와 관계 맺는 ‘문화적 주체’로 자리매김하게 되었다. 이는 수동적인 소비가 아닌, 세계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이루어진 결과이며, ‘불리는 이름’이 관계의 출발점이 되었음을 시사한다. 한류는 그렇게 세계 속에 인식되며 들어왔다.
하지만 오늘의 한류는 하루아침에 피어난 꽃이 아니다. 서정주의 시 ‘국화 옆에서’는 한류가 겪어온 고통과 기다림의 시간을 담고 있다. “한 송이 국화꽃을 피우기 위해 / 봄부터 소쩍새는 그렇게 울었나 보다.” 일제 강점기, 분단, 산업화의 질주, 민주화의 함성 등 한국 현대사의 굴곡진 역사는 오늘의 한류를 가능하게 한 ‘소쩍새 울음’과 ‘먹구름 속 천둥’과 같은 메타포로 해석될 수 있다. 이러한 시련과 인고의 시간을 거쳐 피어난 국화, 즉 한류는 단순한 상품이 아닌, 한국 사회가 겪은 모든 시련과 성공, 회복의 총체적인 문화적 결정체다. ‘국화 옆에서’가 불가의 연기(緣起) 사상을 노래하듯, 한류 역시 단절된 흐름이 아닌 연속된 역사 속에서 존재하며, 한국의 시간과 기억이 맺은 ‘기억의 꽃’으로서, 존재의 증언이자 시대의 결과라 할 수 있다. 이제 우리는 묻지 않을 수 없다. 이 ‘기억의 꽃’은 과연 누구를 위해 피어난 것인가.
한류의 진정한 힘은 언어를 넘어 마음을 두드리는 공감에서 나온다. 김용락 시인의 ‘BTS에게’는 이러한 공감의 울림을 잘 포착한다. “LOVE MYSELF, LOVE YOURSELF!/(…) /인간은 자신의 이야기를 할 때/비로소 가슴이 뛰고 인간이 된다는 것을…” BTS는 단순한 아이돌을 넘어, 언어를 초월한 감정의 번역자이자 시대의 시인으로, 진심으로 자신들의 이야기를 들려줌으로써 세계인의 마음을 움직였다. 그들의 노래와 메시지는 ‘다른 언어로도 마음속을 두드리는’ 콘텐츠이며, K-팝, K-드라마, K-콘텐츠가 세계를 울리는 이유다. ‘BTS에게’는 시가 개인의 고백이자 집단의 거울이듯, K-콘텐츠 역시 ‘진정성’을 바탕으로 세계의 감수성과 접속하며 공감을 이끌어내는 핵심 비결임을 보여준다. 팬덤은 단순한 소비자를 넘어 공감의 공동체이자 문화의 공동 창작자로 발전하고 있다.
그러나 한류의 여정은 아직 끝나지 않았다. 나짐 히크메트의 시 ‘진정한 여행’은 아직 쓰이지 않은 시와 불리지 않은 노래처럼, 한류의 미래를 향한 무한한 가능성을 제시한다. “가장 훌륭한 시는 아직 쓰이지 않았다.” “가장 아름다운 노래는 아직 불리지 않았다.” 한류는 더 많은 서사, 더 깊은 공감, 더 다양한 목소리를 향해 나아가야 한다. 지금까지의 성과에 자만하거나 자족해서는 안 된다. 한류가 추구해야 할 미래상은 단순한 확장을 넘어, 지속 가능한 가치, 다문화적 포용, 그리고 인간성의 회복에 있다. K-콘텐츠는 세계를 향해 말하는 동시에 한국 사회 안의 진실도 담아내야 한다. 외연을 넓히되 내면을 잊지 않는 ‘진정한 여행’만이 한류의 지속 가능성을 보장할 것이다. 창·제작자는 영감과 상상을, 플랫폼과 유통 현장은 전략과 방법론을, 연구자는 전망과 통찰을, 정책 담당자는 기획과 비전을, 그리고 수용자는 향수와 감동을 주는 그 여행은 아직 끝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