헨리 여권지수가 발간된 지 20년의 역사를 통틀어 처음으로 미국 여권의 위상이 크게 하락하며 세계 최상위 10위권에서 벗어났다. 한때 2014년에는 부동의 1위를 차지하며 전 세계 어떤 여권보다 강력한 힘을 자랑했던 미국 여권이 이제는 말레이시아와 함께 공동 12위라는 예상 밖의 순위로 추락했다. 이는 전 세계 227개 목적지를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다는 점을 감안할 때, 과거의 명성과는 사뭇 달라진 결과이다. 이러한 여권 순위의 변동은 단순히 국가의 위상 변화를 넘어, 국제 사회에서의 이동성과 외교적 관계, 나아가 경제적 영향력까지 다방면에 걸쳐 시사하는 바가 크다.
그렇다면 20년의 여정 동안 1위 자리를 굳건히 지키거나 상위권을 유지했던 미국 여권이 어쩌다 10위권 밖으로 밀려나게 된 것일까. 헨리 여권지수 순위는 각국의 비자 면제 협정 체결 현황을 바탕으로 산출된다. 즉, 다른 국가와 얼마나 많은 수의 목적지에 대해 비자 없이 여행할 수 있는지가 여권의 ‘강력함’을 결정하는 핵심 요소이다. 미국 여권의 순위 하락은 상대적으로 다른 국가들의 비자 면제 협정 확대 속도에 뒤처졌거나, 혹은 특정 국가들과의 외교적 관계 변화 등에 따른 결과로 분석될 수 있다. 구체적인 외교적 협상 과정이나 각국의 정책 변화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일 가능성이 높다.
이러한 변화는 미국을 포함한 국제 사회에 여러 가지 질문을 던진다. 첫째, 여권의 힘은 단순히 개인의 여행 편의성을 넘어 국가 간의 신뢰와 협력 수준을 반영하는 지표가 될 수 있다. 미국 여권 순위 하락은 잠재적으로 미국 국민의 해외 활동에 제약을 가할 수 있으며, 이는 국제 비즈니스, 학술 교류, 관광 산업 등 다양한 분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둘째, 이러한 순위 변동은 향후 각국이 외교 정책을 수립하고 국제 협력을 강화하는 데 있어 중요한 참고 자료가 될 것이다. 여권 순위의 재편은 새로운 외교적 파트너십을 모색하거나 기존 관계를 재정립하는 계기가 될 수 있다.
결론적으로 헨리 여권지수 20년 역사상 처음으로 미국 여권이 10위권 밖으로 밀려난 사건은 단순한 순위 변동 이상의 의미를 지닌다. 이는 국제 사회의 역학 관계 변화와 국가 간의 상호작용 방식을 다시금 생각해 볼 중요한 기회를 제공한다. 앞으로 미국이 여권의 경쟁력을 회복하기 위해 어떤 외교적 노력을 기울일지, 그리고 이러한 변화가 국제 사회 전반에 어떤 파급 효과를 가져올지에 대한 지속적인 관찰과 분석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