많은 공무원 응시생들이 4월 5일 국가공무원 공채 시험에 응시하며 설렘과 긴장 속에서 희망을 꿈꿨다. 그러나 충주시 주덕읍 행정복지센터에서 근무하는 김윤서 주무관은 시험장을 직접 찾지는 못했지만, 동료 주무관의 전언을 통해 시험장의 뜨거운 열기를 전해 들었다. 한 교실에 19명이나 되는 응시생이 시험에 임했다는 이야기는 그만큼 많은 이들이 공직 사회에 대한 기대감을 품고 있음을 보여준다. 하지만 김 주무관은 7년 전, 자신 또한 치열한 경쟁을 뚫고 공무원이 되기 위해 밤낮없이 노력했던 시절을 떠올렸다. 당시 그는 합격만을 바라보며 집과 독서실을 오가는 고단한 수험 생활을 이어갔다. 출구가 보이지 않는 어두운 동굴 속에 갇힌 듯한 절박함 속에서도, 합격 후에는 어떤 어려움에도 웃으며 대처하고 모든 민원인을 친절하게 대하겠다는 다짐을 품었다.
그렇게 7년이라는 시간이 흘러, 면접 자리에서 “처음의 마음을 잊지 않는 공무원이 되겠다”고 호기롭게 말했던 김 주무관은 이제 읍행정복지센터에서 증명서 발급과 전입신고를 받는 민원 담당 공무원이 되었다. 당시 자신이 얼마나 지키기 어려운 다짐을 했던 것인지 뒤늦게 깨달으며, 때로는 의문에 사로잡히기도 했다. 과연 나만 이처럼 공직 생활의 어려움을 느끼는 것인지, 다른 동료들은 어떤 마음으로 공무원이 되었고 현재 삶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 궁금해졌다. 동료 주무관과 남편에게 조심스럽게 질문을 던졌고, 그들의 답변은 비슷하면서도 각자의 가치관과 지향점에 따라 조금씩 달랐다. 하지만 신규 공무원 시절의 어려움을 이야기할 때, 그들의 눈빛에서 발견할 수 있었던 것은 바로 처음 공직에 발을 디뎠던 시절의 열정과 순수함이었다.
읍행정복지센터의 일상은 늘 분주하다. 하루에도 수많은 사람들이 센터를 방문하며, 때로는 민원인이자 때로는 직능단체 회원으로서 센터를 찾는다. 김 주무관은 아기의 출생신고를 받으며 훈훈함을 느끼고 주민등록번호를 부여하며 책임감을 다지기도 하고, 사망신고를 받으며 떠나보낸 이의 슬픔을 함께 나누기도 한다. 이처럼 센터를 스쳐 지나가는 수많은 민원인들의 목소리를 마음속으로 들으며, 길거리의 많은 사람들에게서 과거 민원인들의 모습을 떠올리기도 한다. 꿈속에서는 민원을 받고 사실 조사를 나가는 일도 빈번했다. 이러한 일상의 반복 속에서 김 주무관은 점차 일에 대한 마음과 감정이 무뎌져감을 느꼈다.
하지만 예상치 못한 곳에서 그는 공직자로서의 마음을 다잡을 기회를 얻었다. ‘심각’ 단계로 격상된 산불에 대응하기 위해 주말에도 근무를 서게 된 것이다. 읍장님을 포함한 다섯 명의 직원들과 함께 마을을 순찰하며 위험 요소를 점검하고 주민들에게 산불 예방 및 행동 요령을 안내하는 임무를 수행했다. 홍보 노래가 흘러나오는 행정 차량 안에서, 김 주무관은 비록 마을 지리에 어두워 모든 곳이 비슷해 보였지만 주덕읍 일대를 꼼꼼히 살폈다. 벚꽃이 만개하지 않아 상춘객은 많지 않았지만, 공설묘지를 찾은 성묘객들에게 산불 예방 홍보물을 전달하며 조심을 당부했다. 국가적인 재난 상황 속에서 작은 힘이라도 보태는 것이 공무원의 당연한 역할임을 다시 한번 깨달았다. 이날 오후, 곳곳에 내린 단비처럼 여러 유관기관에서 산불 피해 복구를 위한 성금 기부가 이어졌다. 동료 주무관이 성금 접수로 바쁜 와중에도, 김 주무관은 우리가 살아가는 이곳이 서로 돕고 보듬는 지역사회임을 피부로 느꼈다.
이러한 경험들을 통해 김 주무관은 7년 간의 공직 생활을 돌아보며 공무원이란 주민들이 서로 상생할 수 있도록 돕는 ‘다리’와 같다는 결론에 이르렀다. 사람들이 안전하게 건너편으로 건너가 서로 만나 돕고 살아갈 수 있도록 자신의 역할을 기꺼이 내어주는 존재라는 것이다. 이제 그는 가장 강하고 튼튼한 돌다리가 되고 싶다는 바람을 품는다. 두 다리로 튼튼하게 서서 지역사회 발전에 기여하며, 더 이상 벽을 더듬으며 느릿하게 걷지 않고 분명한 목적지를 향해 빠르게 나아가겠다는 의지를 다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