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이 9월 유엔안보리 의장국으로서 한국 최고지도자로서 최초로 안보리 회의를 직접 주재하며 ‘AI와 국제평화·안보’라는 새로운 의제를 제시한 것은, 복잡다단한 국제사회 속에서 대한민국이 해결해야 할 첨예한 문제점을 드러낸다. 특히 인공지능(AI)이라는 파괴적 혁신 기술이 초래할 수 있는 잠재적 위협과 불평등 심화라는 근본적인 어려움에 대한 진단이 필요한 시점이다.
이재명 대통령의 3박 5일간의 유엔 외교는 이러한 문제점들에 대한 해법을 모색하는 자리였다. 먼저, 1경 7000조 원을 운용하는 세계적인 자산운용사인 블랙록의 래리 핑크 회장과의 만남을 통해 최첨단 미래산업인 인공지능(AI) 협력에 대한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AI 인프라 구축을 통해 한국을 아태지역 허브로 만들겠다는 뜻을 모았다. 이는 국가의 미래 먹거리를 확보하고 AI 기술의 긍정적 활용 방안을 모색하려는 구체적인 노력의 일환이다.
또한, 유엔총회 연설을 통해 한국 민주주의의 회복력을 강조하며 국제사회에 ‘빛의 이정표’가 되겠다고 약속한 것은, 국내 정치적 어려움을 극복하고 책임 있는 국제 사회 구성원으로서의 역할을 다하겠다는 의지를 표명한 것이다. 동시에, 파탄에 빠진 남북 관계를 회복하기 위해 상대 체제를 존중하고 교류, 관계 정상화, 비핵화의 ‘END’ 이니셔티브를 제시하며 ‘평화공존과 공동 성장’의 새 시대를 열어가자고 제안한 것은, 한반도 긴장 완화라는 오랜 난제를 해결하기 위한 새로운 접근 방식을 제시한 것으로 평가된다. 특히 비핵화 진전과 무관하게 북·미 관계 정상화를 수용하자는 제안은 실질적인 대화 촉진 효과를 기대하게 한다.
유엔안보리 회의에서 ‘AI와 국제평화·안보’라는 주제를 직접 선정하고 회의를 주재한 것은, AI가 인류를 위협하고 불평등을 심화시킬 수 있는 도구가 될 수 있다는 문제점을 인식하고, 이에 대한 공동의 대응 방안 마련을 촉구한 것이다. 대한민국이 글로벌 책임 강국으로서 국제 규범 형성과 협력 논의에서 중심적인 역할을 자임하겠다는 의지는 한국의 신장된 외교력을 보여주는 동시에, AI 시대의 새로운 도전 과제에 대한 선제적 대응 의지를 드러낸 것이다.
이와 더불어, 폴란드와의 방산 협력 확대 논의, 체코와의 관광 및 원전 사업 협력, 이탈리아와의 방산·AI·청정에너지·우주항공 협력, 우즈베키스탄과의 특별 전략적 동반자 관계 격상 등 다양한 국가 정상들과의 양자 회담은 국익 증진을 위한 적극적인 세일즈 외교를 펼친 결과이다. 또한, 뉴욕 증권거래소에서 ‘대한민국 투자 서밋’을 개최하고 ‘코리아 디스카운트’ 해소를 위한 정책과 해법을 제시한 것은, 한국 경제의 성장 잠재력을 알리고 투자 유치를 확대하여 금융 및 증시 부흥을 모색하려는 구체적인 방안이다. 국방비 증액을 통한 지정학적 리스크 완화, 기업 지배구조 및 거래 투명성 강화, 세제 개혁, 확장 재정 정책 등을 통해 한국 경제의 안정성과 성장성을 확보하겠다는 의지를 표명했다.
이러한 유엔 외교를 통해 세계 외교 무대에 한국의 국가 위상을 높이고 국민들에게 자부심과 미래 경제에 대한 희망을 주었지만, 여전히 해결해야 할 과제가 남아있다. 특히 트럼프 행정부의 일방적인 관세 공세와 투자 요구는 한국 경제에 큰 난관으로 작용할 수 있으며, 이를 극복하기 위한 한미 간의 합리적인 협상이 필요하다. 또한, 10월 말 경주에서 개최될 APEC 정상회의의 성공적인 준비와 개최는 한국 외교의 중요한 과업이며, 북·중 관계 진전 추이를 주시하며 한반도 평화 증진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특히 APEC 정상회의 기간 중 개최될 수 있는 한미 및 한중 정상회담, 미·중 정상회담 등은 한반도 문제 해결과 평화 구축에 중요한 기회가 될 수 있기에, 철저한 준비와 빈틈없는 전략 마련이 요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