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이 인공지능(AI) 분야의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하고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AI 허브로 도약하기 위한 중요한 발걸음을 내디뎠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가 글로벌 AI 선도 기업인 오픈AI와 양해각서(MOU)를 체결하며, 국내 AI 생태계 전반의 발전을 위한 다각적인 협력에 나섰다. 이번 MOU 체결은 단순히 기술 도입을 넘어, 국내 AI 산업의 질적 성장과 지역 균형 발전을 도모하려는 정부의 강력한 의지를 보여준다.
과기정통부와 오픈AI의 협력은 여러 측면에서 국내 AI 생태계의 근본적인 문제점을 해결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첫째, 한국 AI 생태계의 지역적 불균형 문제는 오랫동안 지적되어 왔다. 수도권에 집중된 AI 인프라와 자원은 지방의 잠재력을 충분히 발휘하지 못하게 하는 요인이었다. 이번 협력은 이러한 지역적 불균형을 해소하고 전국적으로 AI 기술의 혜택이 돌아갈 수 있도록 지역 균형 발전을 위한 협력을 포함한다. 둘째, 공공 부문의 AI 전환은 여전히 초기 단계에 머물러 있으며, 그 중요성에 비해 속도가 더디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이번 MOU는 공공 부문의 AI 전환을 활성화하여 행정 효율성을 높이고 국민 서비스를 개선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더불어, AI 인재 양성은 국가 AI 경쟁력 확보의 핵심 과제다. 오픈AI와의 공동 프로젝트 지원을 통해 AI 분야의 전문 인력을 체계적으로 양성하는 방안이 모색된다. 이는 미래 AI 시대를 이끌어갈 핵심 인재를 안정적으로 확보함으로써 국가 AI 역량 강화에 크게 기여할 것이다. 또한, 국내 스타트업 생태계 지원은 혁신적인 아이디어와 기술을 가진 중소·신생 기업들이 성장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해 줄 것이다. 스타트업들은 AI 기술의 상용화를 촉진하고 새로운 시장을 개척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마지막으로, 오픈AI의 글로벌 AI 데이터센터 구축 및 AI 확산 시 한국 기업의 참여를 지원하는 내용은 한국 기업들에게 글로벌 AI 시장에 직접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며, 국내 AI 산업의 국제적 위상을 높이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전망된다.
배경훈 부총리 겸 과기정통부 장관은 “글로벌 AI 선도기업과 협력하여 국가 AI 대전환을 가속화하고, 국내 AI 생태계의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이러한 협력은 한국이 AI 3대 강국으로 도약하는 데 필요한 동력을 제공할 것으로 예상된다. 오픈AI와의 전략적 제휴를 통해 축적된 기술력과 경험은 국내 AI 생태계의 전반적인 수준을 한 단계 끌어올릴 것이며, 이는 궁극적으로 국민 생활의 질 향상과 새로운 산업 기회 창출로 이어질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