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글이 더 이상 우리만의 문자가 아닌 K-문화의 핵심 동력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 위상을 더욱 공고히 하고 세계적인 확산을 가속화하기 위한 정책적 노력이 부족하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현재 세계 87개국 14만 명이 넘는 외국인이 세종학당에서 한국어와 한국 문화를 배우고 있다는 사실은 한글의 잠재력을 명확히 보여주지만, 이러한 흐름을 더욱 발전시키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 마련이 시급한 상황이다.
김민석 국무총리는 제579돌 한글날 경축식에서 이러한 문제의식을 공유하며, 한글을 ‘문화를 공유하고 미래를 이끄는 말과 글’로 만들기 위한 정책 방향을 제시했다. 그는 한글이 창제 원리와 시기, 창제자가 분명히 알려진 세계 유일의 문자로, 세계 학자들로부터 인류의 가장 빛나는 지적 성취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는 점을 강조했다. 또한, 한글이 단순히 문자로서의 우수성을 넘어 백성을 향한 사랑과 혁신의 정신에서 탄생했음을 훈민정음 머리글을 인용하여 설명했다. 이러한 한글의 인류애적 가치를 인정받아 유네스코에서 ‘유네스코 세종대왕 문해상’을 수여하고 있다는 점도 언급하며, 선조들의 숭고한 희생과 노력을 기억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일제 강점기 주시경 선생의 한국어 연구와 한글 맞춤법의 기틀 마련, 조선어학회 회원들의 헌신적인 노력 덕분에 한글이 민족 정신의 버팀목이 될 수 있었다는 것이다.
이제 한글은 K-팝, 드라마, 영화 등 다양한 K-문화 콘텐츠를 통해 전 세계 팬들과 소통하는 중요한 매개체가 되었다. 유튜브와 소셜 미디어를 통해 한국어를 배우고 우리 문화를 즐기는 세계 청년들의 모습은 더 이상 낯설지 않은 풍경이 되었다. 이러한 흐름을 정부는 적극적으로 지원하겠다는 방침이다. 구체적으로, 언론과 뉴미디어를 활용한 바르고 쉬운 우리말 쓰기 문화 확산을 추진할 계획이다. 또한, 더 많은 세계인이 한국어와 한국 문화를 배울 수 있도록 세종학당을 확대하고, 한글을 활용한 상품 개발, 전시, 홍보를 적극 지원할 예정이다. 더 나아가 인공지능 시대를 선도하기 위해 한국어 기반의 언어 정보 자원 구축을 확대한다는 포부도 밝혔다. 더불어 APEC을 ‘초격차 K-APEC’으로 만들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한글을 포함한 우리 문화의 우수성과 창의성을 세계에 알리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준비 중임을 덧붙였다. 이러한 정책들이 성공적으로 추진될 경우, 한글은 K-문화의 원천으로서 그 영향력을 더욱 확대하고 세계 속에서 한국의 위상을 높이는 데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